
"월세보다 더 비싸다고?"…'관리비 꼼수' 없어질까 (자막뉴스) / SBS
국토교통부는 소규모 주택의 정액 관리비 내역을 세분화해 광고하도록 한 개정 고시를 21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공인중개사들은 이제 관리비가 월 10만 원 이상 정액 부과되는 원룸이나 오피스텔, 다세대주택의 전월세 매물을 인터넷에 광고할 때 관리비 세부 내역을 게시해야 합니다 의무 게시 대상 관리비는 일반관리비와 전기·수도료, 난방비 등 사용료, 기타 관리비 등입니다 이에 따라 관리비 총액만 기재하고 여기 '청소비, 인터넷 요금 등이 포함됐다'고 뭉뚱그리는 식의 광고는 앞으로 할 수 없게 됩니다 젊은 층이 많이 사는 소규모 주택에서 일부 임대인들이 월세보다 많은 관리비를 부과하는 꼼수를 막기 위한 거라고 국토부는 밝혔습니다 아파트와 달리 오피스텔이나 다세대 주택은 법에 세부 관리비 규정이 없어 세입자들이 세세한 관리비 내역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국토부는 반년 간의 계도기간을 둬 내년 3월 말까진 단속하지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계도기간이 끝난 뒤 관리비 세부 내역을 표기하지 않을 경우 과태료 50만 원이 부과됩니다 단순미 표기가 아니라 거짓으로 표기했을 때는 500만 원 과태료를 부과합니다 앞서 직방과 다방, 네이버 부동산 등 부동산 중개 플랫폼 업체들은 관련 고시 시행 전에 이미 관리비 세부 내역 표출 서비스를 시작한 바 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 ☞[뉴스영상] 기사 모아보기 #SBS뉴스 #뉴스영상 #관리비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SBS 뉴스 라이브 : ,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이메일: sbs8news@sbs co kr 문자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