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과충전 따른 화재 위험성은 제로" : 알파경제TV

현대차·기아 "과충전 따른 화재 위험성은 제로" : 알파경제TV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전기차 배터리 충전량과 화재 사이에 연관관계가 없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이는 전기차 배터리를 100% 충전해도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다시 한 번 밝힌 것입니다 20일 현대차와 기아는 참고자료를 통해 배터리 충전량과 화재의 연관관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습니다 두 회사는 전기차 배터리를 100% 충전해도 설계상 배터리에 안전 공간이 확보돼 있기 때문에 과충전에 따른 화재 발생은 전혀 사실이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만일 배터리에서 문제가 생기더라도 배터리의 두뇌 역할을 하는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이 과충전을 차단하고, 제어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더불어 배터리 셀에 오류가 생길 경우 차주에게 문자로 통보하는 실시간 경보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알파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전기차 화재와 관련 배터리 과충전이 원인이라는 근거 없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면서 "전기차 배터리는 실제 안전마진(여유공간)이 추가로 확보돼 있어 과충전에 따른 화재는 애초 말이 안된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여유공간은 세 가지 수치가 반영돼 결정된다고 합니다 첫째, 배터리 제조사에서 설정하는 여유분입니다 예를 들어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의 경우 g당 최대 275㎃h까지 에너지를 담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배터리 제조사는 이보다 낮은 g당 200~210㎃h 수준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고 합니다 둘째, 자동차 제조사가 남겨두는 여유분입니다 운전자가 내비게이션, 계기판을 통해 볼 수 있는 충전량 수치는 배터리 셀 제조사와 자동차 제조사가 각각 설정한 여유 공간을 제외한 수치로 표기된다고 합니다 셋째, '배터리 두뇌' BMS가 사용 가능 용량을 재산정하는 과정에서도 일부 여유 공간을 남겨둡니다 자동차 제조사는 수많은 배터리 셀을 하나로 묶어 배터리 팩을 만듭니다 이 과정에서 하나의 셀의 성능이 떨어지더라도 배터리 전체의 성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배터리 셀 사이의 전압 편차를 줄이기 위해 BMS는 '셀 밸런싱 제어'를 수행합니다 가장 적은 용량이 남은 셀을 기준으로 전체 충전 가능 용량을 재산정해 추가적인 배터리 용량 여유분을 확보하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현대차와 기아는 "앞으로도 배터리 사전 진단, 화재 전이 방지 기술을 보다 고도화해 고객들이 안심하고 전기차를 운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전기차배터리안전 #현대기아전기차 #배터리과충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