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손들 힘든 일 없게 복을 빌고 조상님 좋은 곳으로 가실 수 있게 천도를 바라는 조상경 - 공주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이도령 이법사

자손들 힘든 일 없게 복을 빌고 조상님 좋은 곳으로 가실 수 있게 천도를 바라는 조상경 - 공주 용한 무당 점집 추천 후기 이도령 이법사

#자손들_힘든_일_없게_복을_빌고 #조상님_좋은_곳으로_가실_수_있게_천도를_바라는 #조상경 #이도령_이법사 #점잘보는집 #점집추천 #점집후기 #근처점집 #신점_영점 #진오귀굿 #살풀이굿 #성주굿 #재수굿 #공주점집 #공주점집추천 이도령 이법사 [바쁜 일상 짧고 명쾌한 공수] 상담문의 : 010 4737 8257 [굿엔트]촬영문의 010 9768 1638 [굿엔트]유튜브채널 [굿엔트]네이버 [굿엔트]페이스북 [굿엔트]인스타그램 [굿엔트]트위터 [굿엔트]카카오스토리 [굿엔트]스토리채널 우리나라 전통의 민간신앙을 알리는 곳으로 무속인의 이야기와 무속 문화 세습에 대하여 바르게 소개합니다 구독자 시청자 여러분 항상 좋은 날 되세요! 민속신앙 전문 유튜브채널 '굿엔트' - 여러분들의 구독과 좋아요는 영상 콘텐츠 제작에 큰 도움이 되고있습니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상 자기 세대 이전의 모든 세대를 일컫는 말로, 반댓말은 후손이다 자신의 직계 혈통만을 칭하는 경우가 많지만, 과거 살아있던 같은 민족의 모든 사람을 뭉뚱그려 칭할 때 쓰이기도 한다 대표적으론 조상님의 지혜 등 일반적으로는 할아버지, 할머니까지는 조상보다는 가족으로 생각하고, 그 위 세대부터가 조상이라는 인식이다 한국 같은 경우에는 조선인(대한제국에 시대에 살았던 사람도 포함)을 조상으로 불린다 일찍이 유교 문화가 강한 동아시아권에서는 특히 조상을 잘모시는것이 매우 중요했다 조선시대 양반집에서 해야 할 가장 중요한 2가지가 바로 손님을 융숭히 대접하는 접빈객(接賓客)과 제사를 지내는 봉제사(奉祭祀)였다 봉제사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불효자가 되는 것이었다 후손들은 집안에 자랑스러운 조상이 있으면 고개가 으쓱해질 수 있지만 부끄러운 조상이 있으면 고개를 들기도 힘들다 물론 신경 안 쓰고 사는 사람도 많다 사실 조상의 죄를 들어 후손을 욕하거나 처벌하는 행위는 도덕적으로도 법적으로도 옳지 않다 따라서 조상 중에 부끄러운 행동을 한 사람이 있다고 해서 후손이 죄책감을 느낄 필요는 없다 상식적으로 생각해봐도, 조상이 한두 명도 아니고 그중에 죄 안지은 사람이 있다고 할 수 있을까? 후손들이 원죄를 지고 있는 것처럼 취급하는 것은 정상이 아니다 현대법치국가들 중에 연좌제가 왜 인정되고 있지 않은지 생각해보자 다만 연좌제는 그 발상자체가 왕조국가의 권력안정성에서 기원하기 때문에 민주주의적 시각에서 연좌제를 비판하고 지양하는 것을 무조건 옳은 것이라 단정하기는 힘들다 애초에 친족의 잘못으로 사회적 비난과 지탄을 받는 것과 연좌제를 같은 선상에서 두고 생각하는 것 자체가 무지한 행위다 연좌제는 개인의 잘못을 주변친족에게 돌리는 행위가 아니라, 해당개인에 대한 징벌에 대해 친족들이 위정자에게 보복하려할 가능성을 낮추기 위한 통치방식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즉, 사람들이 잘못을 저지른 이의 가족까지 탓하는 현상과 연좌제는 아무 상관이 없는 문제라는 것 유학에 대해 무지한 이들이 많아 조상에게 음복하는 행위가 유교의 가르침인 줄 아는 경우가 잦으나, 유학에선 단지 부모와 조상에게 효의 차원에서 감사하라고 했을 뿐 조상의 제사를 성대히 치른다고 후손에게 득이 된다거나, 조상의 원한이 후손에게 영향을 끼친다는 소리는 단 한 번도 한 적이 없다 오히려 그런 소리를 하면 괴력난신을 논한다고 경멸받았다 기도(祈禱)는 신 또는 신격화된 대상과 의사소통을 시도하려는 행위, 또는 신에게 무엇인가를 간청하는 행위를 말한다 의식 안에서 행하는 기도는 예배라고도 한다 불교의 경우 기도는 '눈을 안으로 돌이키는 노력', 즉 내 욕심과 고집을 버리고 다 함께 행복한 세상을 위해 깨닫겠다는 원을 세우고 이를 성취하려는 노력의 행위이다 기도는 신 또는 거룩히 여기는 대상에게 의사소통을 시도하는 인간의 행위 양식이다 일반적으로 스스로가 가야 할 길을 구하거나, 도움을 구하거나, 죄를 고백하거나, 사람의 감정을 표현하는 목적을 위해 신성하게, 영이 가득한 말을 연속적으로 하는 형태를 띠나, 신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과 의지를 표현하는 행동을 통틀어서 '기도'로 볼 수 있다 외형적으로 볼 때, 기도하는 사람은 독백을 하거나, 말없이 수행하는 묵도의 형태를 띤다 또한 말뿐만 아니라, 눈을 감거나, 합장, 엎드리기, 또는 일정 구획을 걷는 등의 신체적인 행위 또는 자세가 동반되는 경우도 있다 기도는 개인이 직접 할 수도 있고 여럿이서 함께 행하는 경우도 있다 기도에 쓰이는 말은 찬송, 주문, 또는 기타 자발적인 발언의 형태를 취한다 기도의 의식은 이념이나 종교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정의되고 있으며, 종교 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행동 가운데 하나이다 단, 종교에 국한하지 않고, 명절 혹은 제사 때 조상을 기리거나, 천지신명 또는 하늘에서 떨어지는 유성우를 보고 소원을 빌거나, 애니미즘, 막연한 대상에게 취하는 감사 등의 행위에 이르기까지 보편적으로 '기도' 또는 '빎'이라는 용어로 규정되기도 하며, 예컨대, 무엇인가에의 '빎' 또는 기도는 보다 근원적인 욕구에 근거한 인간의 보편적인 활동 양식으로 볼 수도 있으며 그 대상, 때, 장소, 개인의 사상 또한 천차만별이라 할 수 있다 칠석(七夕):전설 속의 견우와 직녀가 오작교에서 만나는 날인 음력 7월 7일에 행해지는 세시풍속 칠석은 양수인 홀수 7이 겹치는 날이어서 길일로 여긴다 이 날은 견우(牽牛)와 직녀(織女)가 까막까치들이 놓은 오작교(烏鵲橋)에서 한 해에 한 번씩 만난다는 유래담이 있는 날이다 이는 중국 고대의 설화가 우리 나라에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음력 7월이 되면 맑은 바람이 불어오고 하늘이 맑고 푸르며 높다 북두칠성은 한 쪽으로 몰아 떠있고 비단결 같은 은하수는 금방 쏟아질 것 같다 그 동쪽에 직녀성이 수줍은듯 희미하게 비치고 서쪽에서는 견우성(牽牛星)이 휘황하게 빛을 발하는데 이는 마치 서로 마주보며 정겨워하는 듯하다 그러다가 칠석 때면 천장 부근에서 두 별을 보게 되는데 마치 일 년에 한 번씩 만나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별자리를 보고 ‘견우와 직녀’ 설화를 만들어냈음 직하다 중국의 두목지(杜牧之)의 칠석시에 이러한 정서가 담겨 있다 “요계야색양여수 와착견우직녀성(瑤階夜色凉如水 臥着牽牛織女星)”, 즉 “옥 섬돌에 밤빛이 서늘하기 물 같은데 누워서 견우 직녀 두 별을 바라보네”라고 한 것이다 이처럼 남녀간의 정담이 담긴 명절인 까닭에 옛날부터 남녀 상사(相思)나 애정시와 설화도 칠석과 관련된 것이 상당히 있다 주(周)나라 왕자 교(喬)가 봉황곡(鳳凰曲)을 울리며 신선이 되어 도사(道士) 부구공(浮丘公)의 부인과 만났다는 날이 바로 칠석이다 서왕모(西王母)가 자운거(紫雲車)를 타고 전상(殿上)에 내려와, 장수(長壽)를 원하는 한무제(漢武帝)에게 요지 선도(瑤池仙桃)를 올린 날 역시 칠석이다 또 이 날 양귀비(楊貴妃)의 혼이 재생하여 장생전(長生殿)에서 오매(寤寐)에 그리워하던 당명황(唐明皇)을 만나 “하늘에서는 원컨대 비익조(比翼鳥)가 되고 땅에서는 원컨대 연리지(連理枝)가 되자”고 했다는 내용도 전한다 우리 나라 「춘향전」에서 춘향과 이도령의 가약을 맺어주던 광한루(廣寒樓)의 다리는, 견우와 직녀가 만나는 다리와 이름이 같은 오작교였다 칠석날은 별자리를 각별히 생각하는 날이어서 수명신(壽命神)으로 알려진 북두칠성에게 수명장수를 기원한다 이 날 각 가정에서는 주부가 밀전병과 햇과일 등 제물을 차려놓고 고사를 지내거나 장독대 위에 정화수를 떠놓고 가족의 무병장수와 가내의 평안을 빈다 가정에 따라서는 무당을 찾아가 칠성맞이 굿을 한다 또 밭작물의 풍작을 위해 밭에 나가서 밭제를 지내기도 한다 칠석날 처녀들은 별을 보며 바느질 솜씨가 좋아지기를 빌고 서당의 학동들은 별을 보며 시를 짓거나 글공부를 잘할 것을 빌었다 처녀들이 바느질을 잘 하기를 비는 것을 걸교(乞巧)라고 한다 칠석날 밤이면 궁중이나 민가에서 부인들이 바느질감과 과일을 마당에 차려놓고 바느질 솜씨가 있게 해 달라는 이른바 걸교제(乞巧祭)를 지내는 일이 한(漢)나라 시대에 이미 행해졌다 이 풍속이 당(唐)나라 시대에 주변 민족들에 전파되었는데 우리의 걸교나 일본의 ‘다나바다마쯔리[붕기제=棚機祭]’는 그 예들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고려시대 공민왕이 이 날 왕후와 더불어 궁중에서 견우와 직녀성에게 제사를 지내고 백관들에게 녹(祿)을 주었으며 조선시대에는 궁중에서 연희를 베풀고 선비들에게 명절 과거를 보게 하는 등 중요 명절로 여겼다고 한다 그러나 걸교제의 민속화는 실제로 찾기 어렵다 『東國歲時記』에는 인가에서 옷을 햇볕에 말리는 쇄의상(曬衣裳)이 옛 풍속이라고 간단하게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 직물이나 바느질은 실생활에서 대단히 중요한데 직녀라는 별 이름 자체가 직물(織物)이나 바느질과 관련된다는 관념에서 걸교가 더 중요시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근래까지 우리 나라에서는 칠석날 바느질 솜씨를 점치는 풍속이 행해졌다 처녀들이 장독대 위에다 정화수(井華水)를 떠 놓고, 그 위에 고운 재를 평평하게 담은 쟁반을 올려놓고 바느질 솜씨를 좋게 해 달라고 축원한다 그 이튿날 나가 봐서 재 위에 무엇이 지나간 흔적이 있으면 영험이 나타났다고 한다 칠석날에는 칠석차례라 하여 햇벼가 익으면 사당에 천신하고 우물을 깨끗이 청소하고 우물고사를 지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