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큐] 북한, '화성 17형' 추정 ICBM 발사...발사 성공? / YTN](https://poortechguy.com/image/Im9DSbFv_lM.webp)
[뉴스큐] 북한, '화성 17형' 추정 ICBM 발사...발사 성공? / YTN
■ 진행 : 이광연 앵커 ■ 출연 : 한연희 통일외교안보부 기자,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시 [YTN 뉴스Q]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지난 3일에 이어서 보름 만에 북한이 다시 ICBM 발사로 추가 도발에 나섰습니다 미사일의 제원 분석, 또 발사 과정을 통해서 북한의 잇단 군사 행동에 대한 정치적 의미까지 해석을 해보겠습니다 한연희 통일외교안보부 기자, 장영근 한국항공대 항공우주학과 교수와 함께하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본격적인 질문 드리기 전에 앞서 국제부 기자가 설명할 때 미 국방부 부대변인한테 질문이 뉴노멀이냐라는 질문이 있었는데 아니라고 했거든요 교수님 생각은 어떠세요? 간단히 여쭤보면 [장영근] 저도 동일하고요 실제로 이렇게 크게 엄청난 이슈가 될 상황이 될 수도 있어요 왜냐하면 이미 기존에 2017년에 화성-15형을 발사를 했고 그리고 그 당시에도 상당히 고각발사를 했고요 그리고 실질적으로 이게 화성-17형이라고 하면 실제 다탄두 미사일 ICBM이 돼야 되는데요 이렇게 되려면 가야 될 길이 아직 멉니다 현재 고각발사를 해서는 도저히 검증이 안 되는 거고요 결국 언젠가는 정상 궤적으로 발사를 해야 이게 지구 대기권 재진입 기술도 검증이 되는 거고 그리고 실질적으로 말씀드린 대로 나머지 필요한, 타격을 가할 만한 성능을 다 갖춘 걸 보여줄 수 있는 거죠 [앵커] 지금 답변이 핵심적인 답변인데 가야 될 길이 멀다고 하셨거든요 잠시 뒤에 그 부분은 좀 더 짚기로 하고 한연희 기자, 아까 전례 없는 규모로 증가한 북한 미사일 도발에 대해 미국도 이례적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한번 질문드려봤는데 북한의 미사일 발사 개요부터 짚어주시죠 [기자] 오늘 발사한 걸 먼저 정리를 하면 오전 10시 15분쯤입니다 평양 순안 일대에서 발사했는데요 동해상으로 장거리 탄도미사일 1발 발사했습니다 이 미사일은 사거리 그러니까 비행거리가 5500km 이상인 미사일을 ICBM 미사일이라고 하는데요 이번 미사일의 비행거리는 약 1000km, 고도는 6100km, 속도는 마하 22로 탐지됐습니다 [앵커] 이번 ICBM 미사일의 경우 상당히 오래 날아가서 특히나 낙하한 지점이 일본 배타적 경제수역 EEZ에 낙하를 했습니다 아까 일본 같은 경우는 69분으로 비행거리를 해석하고 있던데 어떻습니까? [기자] 우리나라도 그렇고 일본도 그렇고 북한이 미사일을 쏘면 같이 탐지를 합니다 단거리 탄도미사일의 경우는 우리나라가 탐지하는 능력이 더 좋다고 해요 왜냐하면 위치도 더 가깝고 하기 때문에 그런데 이런 장거리 미사일의 경우는 위성으로 파악을 해야 하고 또 날아가는 지점이 일본 부근에 있기 때문에 일본도 굉장히 파악하는 능력이 좋다고 하는데 그래서 한국과 일본의 분석 결과를 같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고요 지금 군에서는 화성-17형으로 추정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거는 화성-17형으로 추정이 되는데 당시 지난 3일에도 북한이 화성-17형으로 추정되는 미사일을 발사했어요 그때는 고도가 1920km, 비행거리는 760km, 속도가 마하 15로 탐지가 됐는데요 당시에는 단 분리에는 성공했지만 정상비행은 하지 못한 걸로 파악이 됐는데 지난 3일에 했던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서 이번에 다시 발사한 것이다, 이런 추정이 나오고 있는데 이번에는 정상비행을 했을 가능성도 언급되고 있습니다 말씀하셨던 것처럼 1시간 이상 비행했던 점이나 낙하까지 탐지된 점으로 볼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