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 12월 12일_근전도 검사의 장점!](https://poortechguy.com/image/JNkBwSOdVtE.webp)
[날씨] 12월 12일_근전도 검사의 장점!
안녕하세요 날씨와 건강 박유라입니다 통증이 생겨 병원을 찾았지만 사진 상으로도 정상이고, MRI를 찍어도 특이사항이 없어서 도대체 왜 아플까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이럴 때 근전도 검사를 시행하면 원인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오늘 날씨와 건강에서는 근전도 검사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캐스터: 근전도 검사란 어떤 검사를 말하는 건가요? 의사 : 정확히 말씀드리면 신경 근전도 검사입니다 기기를 통해서 신경과 근육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우리 몸의 모든 근육은 신경으로 연결되어 있는데요 근육의 반응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신경과 근육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캐스터 : 네, 그렇다면 근전도 검사는 어떠한 경우에 실시하게 되나요? 의사 : 주로 말초신경계와 근육질환을 감별하는데 사용됩니다 쉽게 말씀드리자면 팔, 다리에 이상을 확인하는데 사용되는데요 특별히 다치지 않아야 되고 팔, 다리가 저리거나 쿡쿡 쑤시는 등의 통증이 있는 경우, 살갗이 무딘 경우, 힘이 잘 들어가지 않는 경우, 근육의 위축이 심한 경우 등에 검사를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감각에 이상이 있거나 힘이 잘 들어가지 않는 경우 등은 전문의의 진료를 확인하신 후에 검사를 진행하셔야 합니다 캐스터 : 감각적인 부분을 체크하는 검사기 때문에 다른 검사보다 통증의 원인을 파악하는데 더 좋겠죠? 의사 : 네, 맞습니다 뇌에서 팔, 다리까지는 신경이란 회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물론 임상적으로도 증상을 통해서 어느 신경의 문제까지는 측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느 신경을 측정하더라도 그 신경의 어느 부분에서 눌렸는지 알기 어려운 부분이 많은데요 이럴 경우 근전도 검사를 시행하면 어느 부분에 손상이 있는지 좀 더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캐스터 : 마지막으로 검사를 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면 어떤 것들이 있나요? 의사 : 신경과 근육을 자극해서 보는 검사이기 때문에 약간의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전기적 자극이나 주삿바늘에 민감하신 분들은 통증을 좀 더 크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검사가 신경에 큰 손상을 가하는 검사는 아니기 때문에 후유증이 남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단, 주의해야 될 점은 아스피린이나 항응고제 같은 약물을 복용하시는 경우 검사 전 의사에게 알려주셔야 됩니다 부쩍 몸에 기운이 빠진다거나 감각에 이상이 발생한다면 신경과 근육에 문제가 있다는 신호일 수도 있으니까요 꼭 한번 근전도 검사를 실시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날씨와 건강 박유라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