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명절과 풍속 정월대보름

한국의 명절과 풍속 정월대보름

유래는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신라 소지왕이 까마귀의 도움으로 위급을 면한 후 매년 15일 찰밥[糯飯]으로 제사지낸 기록이 있어 오기일이라 하며 지금까지 전해온다 약밥[藥飯]의 유래도 여기에서 나온 것이라 본다 정월 보름은 입춘절기를 지난 첫 보름날로 이날의 모든 풍속과 행동은 일년동안의 개인과 마을 ,국가의 풍흉을 정하는 것으로 여겼다 절식으로는 찹쌀로 지은 오곡밥과 묵은나물과 복쌈을 먹고, 부스럼 방지로 호두,밤 잣 땅콩 등 부럼을 깨 먹는데 이굳히기[固齒之方]라고도 한다 더위팔기와 이명주[耳明酒]마시기 복토훔치기 대추나무시집보내기같은 유감주술행위들을 한다 민간 풍속으로는 동제(洞祭)와 별신제를 지내고 봉기(奉旗)를 달며 액을 물리치는 달집태우기 횃불싸움,달맞이 등 달이 중천(中天)에 걸린 밤에 했으며 줄다리기 같은 점풍(占風)놀이들과 고싸움놀이 사자놀음,관원놀음,석전(石戰),쇠머리대기 차전놀이같은 대동놀이들을 많이한다 소경을 불러 안택경을 외우거나 무당을 불러 횡수(橫數)막이를 하며 집집마다 축원해주는 지신밟기 즉 걸립(乞粒)을 하고 여러 금기들을 지킨다 14일 밤에는 방생을 하고 고려시대에는 국가적으로 연등행사를 크게 열었다 농기(農旗)와 농악대들이 모여 기세배를 하고 농악경연과 농기싸움도 한다 또 이날 짚을 묶어서 기 모양을 만들고, 그 안에 벼·기장·피·조의 이삭과 목화를 넣어서 싸고 집 곁에 세우고 볏가리[禾積]라 부르며 풍년을 기원한다 서울에서는 보름날 밤에 수표교·광통교에서 다리[橋]밟기-놋다리밟기-를 하고 이날 연실을 끊어 송액영복이라 쓴 액막이연을 날려보낸다 아홉수에는 제웅치기와 월천공덕(越川功德) 행위로 액을 막고 농사점으로는 용알뜨기나 달불이모습을 보거나,소가 쌀을 먼저 먹거나 보름날 첫 닭이 10번이상 운다거나 달 주위가 짙으면 풍년으로 본다 이 날은 칼질이나 김치먹기 마당쓸기 머리빗기,빨래도 금지하여 전날 모든 음식을 장만하였으며, 보름날은 먹고 밤새도록 놀았다 과거 농본국(農本國)인 우리나라는 보름날 자정에 횃불싸움, 달집태우기 쥐불놀이등 불놀이가 많으므로 현대에 와서는 삼가야 할 놀이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