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있저] 다음 달 21일 한미 정상회담...주요 의제는? / YTN](https://poortechguy.com/image/K0VESYTXscc.webp)
[뉴있저] 다음 달 21일 한미 정상회담...주요 의제는? / YTN
뉴있저 / 알고리줌 / 돌발영상을 보다 편하게 시청하세요! YTN의 대표 시사 콘텐츠 & 프로그램 '돌발영상' '알고리줌' '뉴스가 있는 저녁' '세상만사' 전용 유튜브 채널이 5월 3일 오픈합니다 채널명이 무려 YTN 돌 았 저 구독 좋아요는 필수, 재미는 덤! ■ 진행 : 변상욱 앵커 ■ 출연 : 김진아 국방연구원 북한군사연구실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 달 21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엽니다 두 나라 대통령이 얼굴을 마주하고 직접 만나는 건 이번이 처음이죠 산적한 과제에 대해서 어떤 논의가 이뤄질지 한국국방연구원의 김진아 북한군사연구실장을 연결해서 한미 정상회담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나와 계시죠, 안녕하십니까, 실장님? [김진아] 안녕하세요 [앵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취임 121일 만에 이뤄지는 첫 한미 정상회담입니다 회담 테이블에 오를 의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김진아] 아무래도 지난 한미 2+2 장관회의에서도 그랬지만 정상회담에서도 아마 중국 문제가 미국의 우선순위 아젠다일 가능성이 높고요 특히 바이든 정부 들어서 트럼프 정부의 정책 중에서 옳았다라고 하는 게 바로 대중국 정책인데 민주당, 공화당 모두 강경 기조가 옳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고요 그리고 미국의 전략이라는 게 동맹들의 역량을 강화해서 공동의 전선을 만든다라는 것이기 때문에 일본 다음에 또 한국을 끌어들이는 모양새를 취하는 게 아마 국익에 부합한다라고 판단할 겁니다 그 이후에 의제는 여전히 조율 중이겠지만 대북정책, 코로나 그리고 기후대응 이것은 반복적으로 논의되는 의제일 것이고요 경제분야를 살펴보면 미국이 현재 반도체 그리고 전기 배터리 이 주요 품목에 대해서 글로벌 공급망을 검토하는 작업이 한창이기 때문에 미국이 반도체 주도권을 확보하는 노력이라든지 또는 중국으로의 기술 유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한국과 어떻게 협력할 것인지를 다루고 싶어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최근 바이든 정부가 미국 내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경기부양 계획을 발표했기 때문에 미국 내 또 한국의 투자협력 이런 것들이 어젠다가 될 수 있다고 봅니다 [앵커] 일부 언론들은 이것저것 많은 얘기들을 쏟아냅니다마는 가장 우려하는 부분은 북핵 문제에 대한 한미 간의 견해차가 너무 큰 게 아닐까 이런 것들을 걱정하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 그렇게 견해 차가 커서 우려할 만한 수준이 되는지도 궁금하고 논의는 어떻게 진행될 걸로 보십니까? [김진아] 미국 정부가 대북정책 검토가 막바지라고 말한 지가 벌써 한 달이 넘었어요 그렇기 때문에 아마 큰 틀은 거의 완성됐을 것으로 예측되고요 다만 이것을 공개하는 시기를 저울질하는 것이 아닌가라고 추정이 가능한 상황입니다 미일 정상회담 이후에 백악관이 대북정책과 관련해서 일단은 동맹국 의견을 다 청취한 이후에 발표하겠다고 말했기 때문에 한미 정상회담 이후로 발표 시기를 늦췄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고요 그렇게 본다면 현실적으로 한국의 의견을 미국이 물론 경청하겠지만 기존에 만들어놓은 틀에 맞는 부분들을 선택적으로 수용할 가능성도 저는 있다고 봅니다 그러면 정상회담 이후에 어떤 성명이 나올 것인가, 이것이 사실은 중요할 텐데요 미일 정상회담 이후에 북한 관련해서는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고 또 비가역적인 핵폐기 그리고 모든 종류의 탄도미사일 폐기가 강조되었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한미 정상회담 이후에도 이러한 최종 목표가 다시 한 번 확인될 가능성은 굉장히 높다고 보여지고요 그러면 과연 한국이 강조하고 있는 싱가포르 공동성명의 정신, 그것은 어떻게 되는 것이냐라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