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 신고 녹취에 담긴 참상...경찰 내부감찰 부실 대응 규명할까? / YTN

112 신고 녹취에 담긴 참상...경찰 내부감찰 부실 대응 규명할까? / YTN

■ 진행 : 김영수 앵커, 박상연 앵커 ■ 출연 :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 임성재 사회1부 기자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특보]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이태원 참사가 나기 전 시민들이 당시 사고 위험을 느끼고 직접 경찰에 신고해 상황을 알린 녹취록 11건의 내용이 공개됐습니다 녹취록엔 사고가 일어나기까지 다급한 상황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행안부 장관을 비롯한 경찰청장, 서울시장 줄줄이 책임을 통감하며 고개를 숙였지만 파장은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관련 내용사회부 임성재 기자,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임 기자, 일단 경찰이 공개한 녹취록 내용부터 짚어볼까요 [기자] 이태원 참사 당일 인명피해 신고가 소방에 처음 접수된 건 29일 밤 10시 15분쯤입니다 그런데 4시간 전인 저녁 6시 34분 112 신고가 접수됐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인명피해 전 이번 참사를 예측하고 경고하는 성격을 띠는 겁니다 하나하나 신고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8시 34분, 좁은 골목인데 사람들이 엉켜서 압사당할 것 같다, 이런 위험이 이미 감지되고 있었습니다 또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정리를 해달라거나 많이 몰려서 쓰러지고 통제가 안 된다, 이런 신고 내용도 있었습니다 계속해서 사람이 많아서 압사당하고 있다, 인파가 너무 많다, 대형사고 일보직전이다, 이런 경고까지 있었습니다 주목할 부분은 구체적으로 압사라는 단어가 총 9번에 걸쳐 등장한다는 점입니다 직접적으로 위험을 느낀 게 아니라면 흔히 쓰이는 단어는 아니죠 그만큼 상황의 심각성을 인식하는 시민들이 많았다는 방증입니다 [앵커] 시민들이 압사라는 단어를 써가면서 상황을 예상했고요 그들의 예상이 결국에는 맞았던 겁니다 저희도 공개된 녹취록 신고 내용을 봤는데 참사가 발생했던 해밀턴호텔 주변에서 이어졌더라고요 [기자] 참사가 발생한 해밀턴호텔 주변에서 참사가 발생했습니다 사고가 우려된다는 첫 신고가 바로 그 호텔 옆 골목에서 접수됐습니다 클럽 앞에서 늘어선 사람들에 이태원에서 올라온 인파까지 합쳐져 압사당할 것 같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다음 신고 역시 이태원역 부근과 참사 현장에서 멀지 않은 곳에서 이뤄졌습니다 희생자가 대규모 발생한 골목길 위쪽에선 비슷한 신고가 접수됐습니다 밤 9시 전후로도 해밀턴 호텔 뒤편, 세계 음식거리를 따라 신고가 이어졌고 인원통제가 필요하다는 신고가 상당수 많았습니다 [앵커] 저희 준비된 그래픽 앞서 처음에 봤던 그래픽 띄워주시겠습니까? 교수님, 이게 일반 시민들이 생각하기에는 112 신고 들어오면 당연히 경찰이 출동할 거라고 생각하는데 지금 보시는 것처럼 출동한 건 4건밖에 안 돼요 왜 그런 거예요? [이웅혁] 일반적으로 현장에 임장하는 것이 원칙인데 저 상황 자체는 조금 더 조사가 필요합니다마는 만약 다른 변수가 있지 않았다고 한다면 혹시 동일한 내용이 동일 지역에서 신고가 접수되었기 때문에 일단 설명으로 이 상황을 처리하고 나름대로 해소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긍정적으로 생각해 보면 그럴 가능성이 제일 크지 않는가 생각이 됩니다 그리고 조치 자체의 내용, 112 신고 접수하고 나서 어떻게 종료를 했는지 이렇게 보고를 하는 규정들이 있는데요 짧게 나온 내용들을 보게 되면 설명 후 종료했다고 하는 취지인 것으로 보면 선의로 해석하게 되면 일단 동일지역에 동일내용의 신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