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 설립 특례 발의…유치전 본격화

의과대학 설립 특례 발의…유치전 본격화

[앵커] 코로나19를 계기로 의료 인력 부족 문제가 불거지면서, 청와대가 의과대학 정원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국회에서도 관련 법안 발의가 잇따르는 가운데, 창원시 등 자치단체들이 본격적인 의과대학 유치 경쟁에 나섰습니다. 김소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전국 40개 지역의 의과대학 입학 정원은 한해 3,260여 명, 경남의 유일한 의과대학인 경상대 의과대학 입학 정원은 한해 76명에 불과하고, 전국 92개 대학병원 가운데 경남은 단 두 곳뿐입니다. 창원의 의과대학 설립은 30년 넘은 지역의 숙원사업! 최근 더불어민주당과 청와대가 의과대학 정원 확대를 본격적으로 검토하면서 논의의 불씨가 재점화됐습니다. 박완수 의원은 창원지역 의과대학 신설을 위한 법안을 발의했습니다.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 가운데, 의료인력 양성기관이 부족한 도시의 지방대학의 경우, 교육부 장관이 의과대학 설립 인가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특례 규정을 마련한 겁니다. [인터뷰] 박완수/국회의원(창원의창/미래통합당) "창원 같은 경우 100만 이상 지방도시로서 유일하게 의료 인력 양성기관이 없는 곳이기 때문에 이 법안이 통과되면 정부가 우선적으로 창원에..." 다른 지역 자치단체들도 유치 경쟁에 가세했습니다. 전라남도는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유일하게 의대가 없다는 점을 내세우며 유치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전라북도는 서남대가 폐교된 남원을 염두에 둔 공공 의대 설립에 나서고 있고, 경북과 서울시도 공공의대 설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나재용/창원시 평생교육과장 "(창원은) 마산의료원을 비롯한 국립마산병원 등 공공의료시설이 밀집돼 있고, 경남도에서도 공공의료시설을 확충할 계획입니다. (창원에) 의료 인력이 필요합니다. " 경상남도와 창원시, 창원대학교는 조만간 지역 상공계 등과 함께 공공 의과 대학 설립을 위한 지역 협의체를 발족할 계획입니다. #의과대학 #창원대학교 #의료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