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Search
적천수징의 팔격 제7강 - 오행이 생극제화 하여 이룬 인수격(印綬格)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show
적천수징의 팔격 제7강 - 오행이 생극제화 하여 이룬 인수격(印綬格)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적천수징의 팔격 제6강 - 오행의 생극제화에 따라 격을 이룬 두 번째 사주를 공부합니다.
자평진전해부하기 (4권) 【論印壽格】 : 론인수격/ 임수격에 칠살을 쓰는 경우와 못쓰는 경우, 세번째 53강의
적천수징의 팔격 제2강 - 생극제화(生剋制化)의 이치로 팔격을 구분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적천수징의 팔격 제5강 - 오행이 생극제화에 따라 격을 이루는 정격사주를 살펴봅니다.
자평진전해부하기 (5권) 【論七殺】 :론칠살/ 칠살격에 인수를 용신으로 쓰는 경우, 두번째/72강의
자평진전해부하기 (4권) 【論印壽格】 : 론인수격/ 임수격에 재성을 용신으로 쓰는 경우, 네번째/ 54강의
자평진전해부하기 (4권) 【印壽格取用論】 :인수격취용론/ 인수격에 관성을 용신으로 취하는 경우/ 첫번째/ 56강의
자평진전해부하기 (3권) 1장 4 【論生剋先後分吉凶】(론생극선후분길흉)月令의 用神은 四柱와 짝을 이루어야한다. 진실로 매 글자마다 生剋이 있어 吉凶을 나누어야 한다.021강의
자평진전해부하기 (5권) 【論偏官】 :론편관/ 칠살격에 '인성'을 용신으로하는 경우와 '재성'으로 하는 경우가 다르다.다섯번째/75강의
자평진전해부하기 (5권) 【論七殺】 :론칠살/ 칠살격에 인수가 없어 궁여지책으로 비겁을 쓰는 경우, 세번째/73강의
자평진전해부하기 (5권) 【偏官取運論】 :편관취운론/ 칠살격에 '制殺(제살)'하거나 '化殺(화살)'할 오행이 없으면 비겁을 써서 살을 막아야 한다. 마지막번째/78강의
문형배 헌재재판관과 오동운 공수처장이 실제 내란(?) 세력으로 볼 수 있는 이유와 여론조작이 시작 된 이유.
적천수천미 제17장 生時(생시) 16장 月令(월령)장에 이어 이 생시장도 인원용사를 쓰기는 하는데 중요함은 월령장 보다는 덜하다. /059강
자평진전해부하기 (2권) 7장 【論用神因成得敗因敗得成】(론용신인성득패, 인패득성) ‘成’의 원인이 있음에도 ‘敗’를 얻고, ‘敗’의 원인이 있음에도 ‘成’을 얻다 /008강의
자평진전 해부하기(2권) 7장論用神配氣候得失(론용신배기후득실 : '금수상관희견관' 겨울철에 태어난 금일주는 화기운이 필요하다. 네번째 강의) 13강
적천수천미원전/1권강의/제7장, 天干章(천간장,다섯 개의 모든 陽中에서 丙火가 最高의 陽의 성정이 되고, 다섯 개의 모든 陰中에는 癸水가 陰의 성정이 가장 至極하다.)006번
자평진전해부하기 (5권) 【傷官取運論】 : 상관취운론/금일주가 겨울에 태어나면 조후가 우선으로, '특수격'이 되어, '상관용관격'이 된다. 다섯 번째/88강의
적천수천미원전/1권강의/제7장, 天干章(천간장, 壬水의 성질과 癸水의 성질을 임철초식으로 풀이합니다. 6번째)011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