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경찰, 시민 밀착형 정책 발굴 한계

자치경찰, 시민 밀착형 정책 발굴 한계

[앵커] 자치경찰제가 시행된지 100일을 맞으면서, 도입 취지인 지역 맞춤형 치안 서비스의 실현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부족한 점도 여실히 드러났는데요, 낮은 인지도와 특수 시책 발굴의 한계 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과 지원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주우진 기자입니다. [기자] 부산자치경찰위원회가 출범 100일을 맞았지만, 여전히 낯설고 생소하다는 시민들이 많습니다. {시민"자치경찰위원회라는 걸 혹시 들어보셨는지요?"/"아니요 못 들어 봤어요."} {시민 "모르겠어요 처음 들어봐요."/"처음 들어보시나요?"/"네"} 자치경찰위가 시책 홍보와 의견 수렴을 위해 시작한 SNS도 시민들과의 소통이 크게 활발하진 않습니다. {안경은/부산시자치경찰위원회 행정과장 "지역 현안 발굴을 위해 자치 경찰 전문가 자문단, 시민 소통단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시민의 생생한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부산자치경찰위원회가 그동안 추진한 시책들을 살펴봤습니다. 피서철 해수욕장 치안대책 수립, 집중호우 대비 교통대책 수립 등 대다수가 기존에 해오던 업무들 입니다. 자치경찰제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 파급력 있는 주민 밀착형 안건을 발굴하는 게 중요한데 아직 미흡합니다. 자치경찰제가 광역 단위로 도입돼, 조직이 없는 기초단위에서는 이 제도를 체감하기 힘들다는 게 문제입니다. 현장 최일선에 있는 경찰서나 기초단체 또 지역 주민들의 자치경찰제 참여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일선 구군에 자치경찰 기능을 확충하고, 지역 맞춤형 특수 시책을 발굴할 연구 인력을 늘리는 게 시급합니다. 이를 위한 예산도 충분히 확보돼야 합니다. {김태훈/부산시의회 행정문화위원회 위원장 "(부산자치경찰위원회) 역량을 상당히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시 자체로서의 예산을 충분히 확보해야만 궁극적으로는 부산시민 분들의 안전의 질 또한 향상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자치경찰제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한 제도 보완과 더 많은 관심이 요구됩니다. KNN 주우진 입니다. ▶KNN 뉴스 채널 구독하기 : https://www.youtube.com/channel/UC1if​... ▶KNN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http://www.knn.co.kr/jebonews​ 카카오톡: KNN과 친구 맺고 채팅 - https://pf.kakao.com/_xaKgRV​ 페이스북: 캐내네 메시지 전송 - https://www.facebook.com/knnstory/?re​... 이메일: info@knn.co.kr 전화: 1577-5999·055-283-0505 홈페이지: http://www.knn.co.kr/category/news/ho​...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knnstory/?re​... 카카오톡: https://pf.kakao.com/_xaKgRV​ 인스타그램:   / knn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