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장맛비로 41명 사망..."오송 지하차도 사고는 인재" / YTN

전국 장맛비로 41명 사망..."오송 지하차도 사고는 인재" / YTN

[앵커] 지난주부터 이어진 장맛비에 현재까지 50명이 숨지거나 실종됐습니다 충북 오송 지하차도에선 어제(17일) 5명이 숨진 채 발견됐는데, 유가족들은 미리 막을 수 있던 '인재'였다며 책임 규명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사회부 우종훈 기자와 자세한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먼저, 이번 장맛비로 확인된 전국 인명 피해 현황 종합해주시죠 [기자] 네, 최근 발표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집계에 따르면 이번 장맛비로 41명이 숨지고, 9명이 실종됐습니다 비 피해 우려가 커지면서 사전 대피한 주민도 만여 명을 넘어섰고요 도로와 하천 제방, 교량이나 옹벽 같은 공공시설 740곳이 유실되거나 파손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농작물 피해도 컸는데, 현재까지 논과 밭, 과수원 등 2만 6,900여 ha의 농경지가 침수나 낙과 등의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앵커] 충북 궁평2 지하차도 인명피해가 특히 컸는데요 어제저녁 시신이 추가 수습됐죠? [기자] 네, 어제저녁 7시 50분쯤, 60대 여성 1명이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소방은 실종자가 급류에 휩쓸려갔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었는데요 이 여성이 발견된 곳은 지하차도 밖인 미호강 저지대였습니다 현재까지 궁평2 지하차도 사고로 숨진 사람은 모두 14명입니다 원래 실종자 12명으로 추정됐는데, 이보다 피해가 컸습니다 당국은 지하차도 내부 수색은 종료하고, 필요 시 미호강 인근을 추가 수색한다는 계획입니다 [앵커] YTN으로 사고 직전과 사고 당시의 긴박했던 영상이 제보됐죠? [기자] 그렇습니다 먼저 영상 보시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사고 직전 궁평2 지하차도 상황인데요 영상이 촬영된 건 사고 5분 전인 오전 8시 35분인데요 영상을 보면, 유실된 제방 사이로 흙탕물이 쉴새 없이 지하차도로 흘러 들어가고 있습니다 다음은 오르막을 오르는 차량으로 물이 들어차는 영상입니다 순식간에 앞으로 나아갈 수 없는 상황이 됐는데요 당시 지하차도에서 가까스로 대피했던 신운복 씨 말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신운복 / 오송 지하차도 침수 차량 운전자 : 외부에서는 안이 잘 안 보이죠, 어두워서 내리막길이잖아요 차들도 지나가길래 그래서 들어갔는데 진입을 했는데 시동이 꺼져 가지고… ] 제보자인 신운복 씨 말을 들어보면, 총 길이 400m 이상에 이르는 지하차도에 진입할 때는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없을 만큼 물이 빨리 들어찼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앵커] 이번 사고는 시간이 지나면서 인재였다는 지적이 나오는데요 이유가 무엇인가요? [기자] 우선, 원인으로 지목되는 미호강이 범람할 위기라는 경고가 있었다는 점입니다 지자체에 수위 안내가 전달된 건 최소 세 번입니다 먼저 사고 전날, 금강 홍수통제소는 홍수주의보를 발령하며 도청과 구청에 발령문을 전달했는데, 내용은 한 시간 반 안에 수위가 7m에 도달할 것이란 내용이었습니다 다음날 새벽엔, 그러니까 사고 발생 4시간 반 전쯤엔 홍수경보로 상향 발령하면서, 도청과 구청에 수위가 8m에 이를 거라고 안내하기도 했습니다 수위는 곧 9m까지 이르렀고, 홍수통제소는 구청 담당과에 직접 전화를 걸었습니다 제방이 한계에 달하는 '계획 홍수위', 9 2m에 근접했다며 ''심각 수위'라고 안내한 건데 이때가 새벽 6시 34분, 사고 두 시간 전이었습니다 일종의 경고까지 한 셈입니다 하지만 지자체는 사고 직후 제방 유실이라는 변수를 생각할 수 없었다며 2~3분 만에 물이 들어차 손 쓸 방법이 없었다고 해명했었습니다 충 (중략) YTN 우종훈 (hun91@ytn co kr)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