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답사기 Vol.3/No.58] - 석촌동 고분군, 삼전도비, 몽촌토성, 풍납토성(Ancient Tombs and Earthen Fortifications in Seoul)](https://poortechguy.com/image/MfjCpT9Ck3c.webp)
[문화유산답사기 Vol.3/No.58] - 석촌동 고분군, 삼전도비, 몽촌토성, 풍납토성(Ancient Tombs and Earthen Fortifications in Seoul)
안녕하세요, 죽지랑 TV입니다~! 항상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_^~ 이번 편은 한성 백제의 발자취를 찾아, 한강 주변의 역사유적을 탐방하는 시간입니다 백제가 한강을 중심으로 발전하던 시기의 고분들과 토성의 남은 흔적들을 통해 그 옛날 당시의 모습이 어땠을지 상상해 보기도 하고, 병자호란 이후 청의 요구에 의해 설립되었지만 이후 애물단지(!)로 전락했던 삼전도비에 얽힌 이야기들을 살펴보기도 하면서, 서울의 몇군데 되지 않는 비행가능구역에서 띄운 드론영상도 함께 즐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그럼 항상 즐겁고 행복한 하루 되세요!~ ◈ 답사지 1 서울 석촌동 고분군(Ancient Tombs in Seokchon-dong, Seoul) 서울특별시 송파구 석촌동에 있는 백제 초기의 무덤군 1975년 대한민국의 사적 제243호로 지정되었음 이 일대에는 1916년 일제시대 조사 당시 90여 기의 적석총(돌무지무덤)과 봉토분(흙무덤)이 분포하고 있었다고 하나, 대부분의 무덤은 개발로 인해 없어졌으며, 현재는 3호와 4호 등 몇몇 무덤만 남아있음 무덤 내부와 주변에서는 백제 토기와 와당, 금제 귀걸이 등이 출토되었으며, 특히 3호 적석총은 밑변 50m, 높이 4 5m에 달하는 거대한 규모로, 근초고왕 또는 근구수왕의 무덤으로 추정되고 있음 2 삼전도비(Samjeondobi Monument, Seoul)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청 제국의 전승비이며 송덕비(頌德碑) 병자호란 때 승리한 숭덕제가 자신의 공덕을 알리기 위해 조선에 요구하여 1639년(인조 17년)에 세워졌으며, 1963년 대한민국의 사적 제101호로 지정 비의 전체 높이는 5 7m, 비신의 높이는 3 95m, 폭은 1 4m이고 무게는 32t이며, 머리와 받침돌 조각이 정교해 조선 후기의 뛰어난 비 중 하나로 손꼽히나, 역사적인 배경탓에 치욕비(삼전도의 욕비(辱碑))라고도 불렸음 1895년 청일 전쟁에서 청나라가 패하여 조공 관계가 단절되자 강물에 수장시켰지만, 1913년에 일제가 다시 세워놓았고, 1945년 광복 직후에 주민들이 땅 속에 묻어버린 이후 여러 차례 이전을 거듭하다가 이후 고증을 거쳐 2010년에 비석이 서 있던 원래 위치인 석촌호수 수중에서 30여m 떨어진 현재 위치로 옮겼음 3 한성백제박물관(Seoul Baekje Museum, Seoul)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에 위치한 서울시립박물관 올림픽공원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서울 지역의 백제 한성기의 핵심 유적들과 출토 유물등을 체계적으로 보존, 관리하기 위해 2012년 개관 서울의 선사·고대문화를 중심으로 백제 탄생 이전과 탄생 후 멸망까지의 내용 등에 대해 전시하고 있음 4 서울 몽촌토성(Mongchontoseong Earthen Fortification, Seoul)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공원 내에 있는 백제시대의 토성 1982년 대한민국의 사적 제297호로 지정 3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북쪽의 한강과 남쪽의 남한산성 사이에 자리잡고 있음 움집터와 독무덤·무기·낚시바늘·백제 토기·돌절구 등 여러 유물들이 출토되었으며, 지리적 위치 등으로 미루어 하남 위례성(河南慰禮城)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됨 5 서울 풍납동 토성(Earthen Fortification in Pungnap-dong, Seoul) 백제시대 초기 한강변에 흙으로 쌓은 평지성으로, 사적 제 11호로 지정되어 있음 원래는 둘레가 3 5㎞에 달하는 큰 규모의 토성이었으나, 한강과 맞닿은 서쪽 성벽이 유실되어 지금은 2 1km정도만 남아있음 발굴조사에 의해 성벽 기초부는 너비가 43m, 높이가 11m가 넘는 대규모의 토성으로 확인되었으며, 내부 발굴조사에서도 중요 유구들과 수만점의 유물이 출토되었음 이에 따라 최근에는 하남 위례성(河南慰禮城)의 도성으로 보는 견해가 유력하며, 현재 송파구청과 서울특별시청에서는 이 지역의 땅을 지속적으로 확보하여 복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음 ◈사용음원 : 유튜브 오디오 라이브러리 1 7th_Floor_Tango 2 Wandering Soul - Asher Fulero 3 Night Snow - Asher Fuler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