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군 모친 폐비 윤씨 제헌왕후를 찾다](https://poortechguy.com/image/MfvWB9mnlJ8.webp)
연산군 모친 폐비 윤씨 제헌왕후를 찾다
역사야놀자에서는 서삼릉에 있는 폐비윤씨 묘를 찾아 보았습니다 ( 연산군 모친의 폐비 윤씨 제헌왕후를 찾아 ) 본래 서울 동대문구 회기동(회기동은 회묘가 있다하여 회기동으로 이름이 정해졌다고 합니다 ) 경희대학교 안에 있었으나, 1969년에 서삼릉 내의 현재 자리로 이장한 것입니다 서삼릉 태실에 있는 연산군의 모친인 폐비 윤씨의 묘는 완벽한 왕릉 묘역으로 보존되어 있습니다 폐비 윤씨의 묘는 폐비가 되어서는 회묘로, 연산군이 왕이되어 왕릉인 회릉으로 바꾸어졌으며 연산군이 폐위되고 나서 다시 회묘로 변하게 되었죠 참 변화무쌍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그래서 드라마에 종종 등장하죠 지금 완벽한 왕릉을 앞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중종반정으로 인하여 왕후의 자격을 박탈당하였으나, 반정 세력들이 무덤에는 손을 대지 않아서 연산군에 의하여 왕후의 예로 단장된 모습이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왕릉은 능침공간이라고 하며, 봉분인 능상 뒤에는 곡장, 병풍석, 장명등, 무인석 등 앞에서 직접 볼 수 있는 유일한 왕릉 형태입니다 능상 주변에는 봉분을 지키는 돌로 만든 동물인 양, 호랑이가호위하고 있습니다 조선시대 왕릉의 형태를 그림으로 보시는 것과 같습니다 폐비 윤씨의 태실은 경북 예천에서 이곳으로 옮겨왔습니다 한번 가보시죠!! 참고자료 폐비 윤씨는 1473년에 성종의 후궁이 되었고, 1476년에 왕비로 책봉되었으나, 투기의 죄로 왕비로서의 품위를 잃었다 하여 성종과 인수대비의 노여움을 사 1479년에 폐위되고 1482년에 사사되었습니다 성종의 중전이었던 공혜왕후가 몸이 약하고, 결혼 후 6년 가까이 아이가 없어 신하들이 후궁을 들일 것을 가넝해 숙의 윤씨가 첫 후궁으로 간택되었다 1년 후 공혜왕후가 세상을 떠났고, 그로부터 1년 후 성종은 중전을 간택하지 않고 후궁인 숙의 윤씨를 중전으로 승격 당시 숙의 유씨는 임신 6개월이었다 그 아이가 연산군이다 폐위 야사나 드라마에서 성종의 용안을 할 퀴었다고 하나 조선왕조실록에는 나와 있지 않고, 독약을 몰래 품고 사람을 해치고자 하였다고 하여 폐위 되었다고 기록되어있다 #폐비윤씨 #연산군 #서삼릉 #성종 #조선왕릉 #태실 #호랑이 #양 #역사야놀자 #Korea #tr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