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라이더] 휴가철 숙박 요금, 부르는 게 값? 바가지 논란 해법은? / YTN

[뉴스라이더] 휴가철 숙박 요금, 부르는 게 값? 바가지 논란 해법은? / YTN

■ 진행 : 안보라 앵커 ■ 화상중계 : 류시영 한라대 문화관광경영학과 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라이더]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여름 휴가, 다녀오셨습니까 일상에 지친 몸과 마음을 달래기 위해 떠나는 게 휴가라지만 바가지 요금 때문에오히려 스트레스가 더 쌓인 채돌아오는 분들도 많습니다 "국내 숙박 요금은 부르는 게 값"이란 말이 나올 정도다 보니까차라리 해외여행 가는 게훨씬 저렴하다, 이런 얘기가 나온 지도 오래죠 해마다 반복되는 바가지 논란,근절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한라대 문화관광경영학과 류시영 교수와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교수님, 나와 계시죠? 강원도 원주에 있는 한라대학교 문화관광경영학과의 류시영 교수입니다, 반갑습니다 교수님 최근에 제주도로 휴가 다녀오셨다고 들었습니다 제주도 분위기 어떻던가요? [류시영] 저도 벌써 다녀온 지 2주 정도 되었는데요 7월달에 아이가 방학을 하고 나서 바로 제주도를 갔다왔습니다 저는 제주에 굉장히 자주 가는 편이고 지인들도 많이 제주에 있어서 현지 정보들을 많이 알고 있는데요 바가지에 대한 그런 경험은 없이 잘 편안하게 다녀온 것 같습니다 굉장히 제주도를 많이 방문하는 편인데 이번에 다녀온 제주도는 제가 그동안 가봤던 제주 여행 경험을 통틀어서 딱 봤을 때 굉장히 사람이 적더라고요, 7월달 철임에도 불구하고 코로나 시기에는 정말 많이 있었는데 지금은 해외로 많이들 가신 건지 어떤 건지, 그렇게 많지는 않았습니다 그래서 여행을 하는 입장에서는 조금 여유롭게 다녀오기는 했지만 그래도 관광 쪽에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로서 그 원인이 궁금하기도 했고 시장 분들하고 상인들하고도 만나서 얘기를 해 보니까 직접적으로 피부로 느끼고 있다는 얘기를 많이 하시더라고요 [앵커] 잠시 쉬러 떠나셨다가 교수님 하시는 일이 있으니까 또 전문가로서 분석까지도 하게 된 것 같아요 어떻게 분석하십니까? 최근에 물가가 많이 올랐기 때문에 물가 오른 건 제주도만의 문제는 아닌 것 같거든요 관광객이 줄어든 이유는 뭐라고 분석하셨어요? [류시영] 정말 여러 가지 있을 텐데 코로나 때 일단 못 갔던 부분, 그게 폭발을 하면서 외국으로 많이 간 분들도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고 코로나 시기가 우리 사회에 굉장히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는데 그 시기에 물가에 대한 부분, 워케이션이나 이런 걸로 휴가철이 아니어도 여행을 갈 수 있는 이런 게 많아지면서 분산된 영향도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앵커] 저희가 바가지 요금 논란에 대한 말씀을 나눠보려 합니다 국내 여행을 계획하시는 분들 중에서 비용을 계산하잖아요 쭉 목록을 작성해 보면 가장 큰 비용을 차지하는 게 바로 숙박비용이더라고요 그런데 숙박비용은 휴가철에는 부르는 게 값이다라는 말은 예전부터 나왔던 말이기 때문에, 보통 휴가철에 숙박하려면 1박에 어느 정도를 예상하면 될까요? [류시영] 숙박을 어디에서 묵느냐에 따라서 당연히 차이는 있겠죠 호텔에서 묵느냐, 펜션이냐 묵느냐 그것에 따라 차이는 있을 텐데 지금 화면에 나가는 것처럼 평균 27만 원, 이렇게 나오고 것 같고 숙박 형태로 보면 달라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금액이 얼마냐도 중요하지만 전체 여행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저도 자료를 찾아봤는데 출처가 정확하게 기억이 나지는 않지만 식비하고 숙박비가 30% 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예를 들 (중략) YTN 류시영 (mj0731@ytn co kr)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