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정도일 줄은 꿈에도…" 떠나간 아들, 아빠의 절규 / SBS 8뉴스
〈앵커〉 어린이날 연휴에 진료받을 병원 응급실을 찾지 못해서 다섯 살 아이가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 저희가 어제(16일) 이 시간에 전해 드렸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사연에 가슴 아파했는데, 우리 응급구조체계의 모순이 빚어낸 비극이라는 점에서 서둘러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쏟아졌습니다 먼저, 김민준 기자입니다 〈기자〉 '소아과 의사 부족', 아이 키우는 부모입장에서 익히 들어왔던 이야기였지만, 당사자로 접한 현실은 더욱 냉혹했다고 유가족은 보도가 나간 이후 취재진에 털어놨습니다 [숨진 아동 아버지 : (소아과) 의료진이 부족하다는 부분은 알지만은 실질적으로 이 정도일 줄 지금 정말 꿈에도 몰랐거든요 ] 비극의 원인과 책임을 따지는 일, 반드시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러기 위해서라도 고장 난 우리 소아 응급체계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전문가들 목소리가 쏟아졌습니다 어제 SBS 보도 이후 소아과 개원의로 구성된 대한 소아청소년과 의사회는 정부에 현실성 있는 대책을 촉구했습니다 응급실 현장 전문가들은 사람이 관리하면서 실질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병상, 즉 '가용 병상'이 줄어든 점이 문제의 본질이라고 전해왔습니다 밤을 새우며 환자를 지킬 수 있는 전공의를 늘려야 한다는 겁니다 [김지홍/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이사장 : 전공의 인력들이 받쳐줘야 된단 말이죠 당직도 분담해 줘야 하고 또 환자 감시도 해야 되고 유턴(개원의가 대학병원으로 돌아오는 일)을 바라면서 계속 교수들이 당직 쓰면서 버티고 있는 거예요 ] 시설 더 짓고 진료 시간 더 늘리겠다는 식의 정부의 현재 대책으로는, 인력 보강하도록 병원을 움직이게 하는 데 한계가 명확하다는 지적입니다 지금 응급의료체계에서는 환자와 의사, 모두 절규하고 있습니다 [숨진 아동 아버지 : (우리나라가) 저출산으로 세계 1위인데, 지금 태어나서 애를 기르고 아플 때 적절한 치료를 할 수 있는 그런 바탕을 만들어주시는 부분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영상취재 : 김남성, 영상편집 : 이상민) ☞더 자세한 정보 #SBS뉴스 #8뉴스 #응급실 #병원 #의사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SBS 뉴스 라이브 : ,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이메일: sbs8news@sbs co kr 문자: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톡: 인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