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화웨이 규제로 삼성·SK도 반도체 공급 중단…돌파구는? / KBS뉴스(News)
[앵커] 5G 장비 분야 세계 1위, 스마트폰 점유율도 삼성전자를 꺾고 세계 1위를 기록한 기업 중국의 화웨이입니다 그런데 미국 대선을 앞두고 미국의 화웨이 규제도 강화되고 있습니다 이 규제, 6차례나 있었는데요 우선 지난해 5월부터 미국 기업이 화웨이에 수출하는 걸 금지했고요 올해 5월엔 화웨이가 주문 생산하는 비메모리 반도체를 규제하더니, 지난달엔 우리 주력 분야인 메모리 반도체까지 제재대상을 넓혔습니다 이에 따라 삼성과 SK 등도 15일부터는 화웨이에 반도체 파는 게 어려워질 걸로 보입니다 반도체 산업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박대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달 17일, 미 상무부가 발표한 강화된 화웨이 규제안 미국의 기술과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생산한 반도체는 사전 승인 없인 화웨이에 공급하지 못한단 내용이었습니다 당시엔 우리 기업에도 영향을 줄 지 불분명했는데, 결국, 삼성과 SK도 화웨이에 공급 중단을 결정한 걸로 확인됐습니다 오는 15일부터 화웨이로의 메모리 반도체 판매가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겁니다 미국의 허가를 받으면 가능하지만, 쉽지는 않을 거란 분석입니다 [연원호/대외경제정책연구원 박사 : ""아예 화웨이로 가는 것을 막겠다는게 목적이기 때문에, 제가 생각했을 때는 허가를 내주지 않을 거 같습니다 ""] 삼성과 SK가 화웨이에 판 반도체는 지난해 기준 10조 원 안팎 여기에 화웨이와 거래하던 중소 업체들과 반도체가 들어가는 디스플레이 패널 수출까지, 단기 타격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영향이 크지 않을 거란 전망도 나옵니다 [안기현/반도체산업협회 상무 : ""화웨이 휴대폰 물량을 다른 업체들이 생산하기 때문에, 거기에 대신해 메모리 공급을하면 전체적인 공급에 대해서는 문제가 없을 거 같습니다 ""] 오히려 기회가 될 수도 있습니다 5G 통신장비와 스마트폰 시장에서 화웨이는 우리의 최대 경쟁상대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이번 사태를 계기로 중국이 반도체 국산화에 박차를 가할 수 있어, 어떻게 기술 격차를 유지하느냐가 관건입니다 대선을 앞둔 미국이 또 다른 규제로 우리나라 등 무역 상대국을 압박할 수 있다는 점도 변숩니다 KBS 뉴스 박대깁니다 영상편집:권혜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