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민스님 신묘장구대다라니 108독 :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염불
신묘장구대다라니 본문 나모 라다나-다라야야 Namo ratna-trayāya (나모 라뜨나 뜨라야-야) 삼보께 귀의합니다 나막 알약바로기제새바라야 모지사다바야 마하사다바야 마하가로니가야 namaḥ āryāvalokiteśvarāya bodhisattvāya mahāsattvāya mahākāruṇikāya, (나마하 아-르야-왈로끼떼 쓰와라-야 보디쌑뜨와-야 마하-쌑뜨와-야 마하- 까-루니까-야) 대자대비하신 관세음보살 마하살님께 귀의합니다 옴 살바-바예수 다라나-가라야 다사명 Oṁ sarva-bhayeṣu trāṇa-karāya tasmai (옴 싸르와 브하예쑤 뜨라-나 까라-야 따쓰마이) 옴, 모든 공포에서 구제해 주시는 까닭에 나막 까리다바 이맘 알야바로기제새바라-다바 namas kṛtvā imam āryāvalokiteśvara-stavaṁ (나마쓰 끄리뜨와- 이맘 아-르야-왈로끼떼쓰와라 쓰따왐) 어지신 관음보살님께 귀의하여 (이로 말미암아) 거룩하신 위신력이 펼쳐지도다 니라간타-나막 하리나야마 발다이사미 Nīlakaṇṭha-nāma hṛdayaṁ vartayiṣyāmi (닐-라깐타 나-마 흐리다얌 와르따 이쓰야-미) 푸른 목을 가진 분의 본심으로 귀의하옵니다 살발타-사다남 수반 아예염 sarvārtha-sādhanaṁ śubhaṁ ajeyaṁ (싸르와-타 싸-드하남 슈브함 아제얌) 중생을 구제하는 경지에 도달하여 최상의 길상을 얻어 살바-보다남 바바-마라-미수다감 sarva-bhūtānāṁ bhava-mārga-viśodhakam (싸르와 브후-따-남- 브하와 마-르가 위쑈드하깜) 이 세상에 태어난 모든 것들을 삶의 길에서 깨끗하게 하시니 다냐타 옴 아로계, 아로가 마지로가 지가란제 혜-혜 하례 tadyathā oṁ āloke, ālokamati lokātikrānte hy-ehi Hare (따드야타-, 옴 알-로께 알-로까마띠 로까-띠끄란-떼 에혜히 하레) 이와 같이 옴, 통찰자이자 지혜의 존재이시자 초월자이시여, 아, 님이시여 마하모지사다바 사마라-사마라 하리나야 mahābodhisattva smara-smara hṛdayam (마하- 보디히 쌑뜨와 쓰마라 쓰마라 흐리다얌) 마하살[12]이시여 마음의 진언을 기억하소서 기억하소서 구로-구로 갈마 사다야-사다야 kuru-kuru karma sādhaya-sādhaya (꾸루 꾸루 까르마 싸-드하야 싸-드하야) 행하고 또 행하소서[13], 이루게 하시고 이루게 하소서 도로-도로 미연제 마하미연제 다라-다라 dhuru-dhuru vijayante mahāvijayante dhara-dhara (드후루 드후루 위자얀떼 마하-위자얀떼 드하라 드하라) 보호해 주소서, 보호해 주소서, 승리자여 위대한 승리자여, 수호하소서, 수호하소서, 다린나례 새바라 자라-자라 dharaṇiṁ dhareśvara cala-cala (드하라님 드하레 쓰와라 짤라 짤라) 대지의 왕 자재존이시여 발동하소서 마라 미마라아마라-몰제 예혜-혜 malla vimalāmala-mūrtte ehy-ehi (말라 위말라-말라 무-릍떼 에혜히) 모든 마라를 지워버리신 해탈자여, 어서 오소서 로계새바라 Lokeśvara (로께쓰와라) 세상의 자재자여 라아-미사 미나사야 rāga-viṣaṁ vināśaya (라-가 위쌈 위나-쌰야) 탐욕의 독심을 잠재우소서 나베사-미사 미나사야 dveṣa-viṣaṁ vināśaya (드웨싸 위싸 위나-쌰야) 진심의 독심을 잠재우소서 모하-자라-미사 미나사야 moha-jāla-viṣaṁ vināśaya (모하 잘-라 위싸 위나쌰야) 치심의 독심을 잠재우소서 호로호로 마라 호로 하례 바나마나바 huluhulu malla hulu Hare Padmanābha (훌루훌루 말라 훌루 하레 빠드마 나-브하) 공포와 번뇌(마라)를 제하소서, 연꽃을 지닌 분이여 사라사라 시리시리 소로-소로 못쟈-못쟈 모다야-모다야 sarasara sirisiri suru-suru buddhyā-buddhyā bodhaya-bodhaya (싸라싸라, 씨리씨리, 쑤루쑤루, 붇다-야 붇다-야, 보드하야 보드하야) 제도하소서, 나아게게 하소서, 보리도를 깨닫게 하소서 (여기서부터 관세음보살의 열두가지 호칭이 나온다 ) 매다리야 니라간타 가마사 날사남 바라하라 나야 마낙 사바하 maitriya Nīlakaṇṭha kāmasya darśanaṁ prahlādaya manaḥ svāhā (마이뜨리야 닐-라깐타, 까-마쓰야 다르쌰남 쁘라흐-라다야 마-나 쓰와-하-) 자비로우신 청경성존이시여, 욕망을 부수도록 힘을 주소서 사바하 싯다야 사바하 siddhāya svāhā (싣드하-야 쓰와-하-) 성취하신 분이여, 사바하 마하싯다야 사바하, mahāsiddhāya svāhā (마하- 싣드하-야 쓰와-하-) 크게 성취하신 분이여 사바하, 싯다유예 새바라야 사바하 siddhayogeśvarāya svāhā (싣드하-요게 쓰와라-야 쓰와-하-) 요가성존, 사바하 니라간타야 사바하 Nīlakaṇṭhāya svāhā (닐-라깐타-야 쓰와-하-) 청경성존이시여, 사바하 바라하목카-싱하목카야 사바하 varāhamukha-siṁhamukhāya svāhā (와라-하무카 씽하무카-야 쓰와-하-) 돼지의 모습과 사자의 모습이여, 사바하 바나마-하따야 사바하 padma-hastāya svāhā (빠드마 하스타-야 쓰와-하-) 연꽃을 지닌 분이여, 사바하 자가라 욕다야 사바하 cakrāyudhāya svāhā (짜끄라- 윧드하-야 쓰와-하-) 법륜을 지닌 분이여, 사바하 상카-섭나-네모다나야 사바하 śaṅkha-śabda-nibodhanāya svāhā (샹카 샵다 니보드하나-야 야 쓰와-하-) 법라의 소리로 깨닫게 하시는 분이여, 사바하 마하라구타다라야 사바하 mahālakuṭadharāya svāhā (마하- 라꾸따 드하라-야 쓰와-하-) 큰 곤봉을 지닌 분이시여, 사바하 바마-사간타-이사-시체다-가릿나 이나야 사바하 vāma-skanda-deśa-sthita-kṛṣṇājināya svāhā (와-마 스깐다 데쌰 스티따 끄리스나- 지나-야 쓰와-하) 왼쪽 어깨에 검은 사슴가죽을 걸친 분이여, 사바하 먀가라-잘마-니바사나야 사바하 vyāghra-carma-nivasanāya svāhā (브야-그라 짜르마 니와사나-야 쓰와-하-) 호랑이가죽 옷을 두른 분이여, 사바하 나모 라다나-다라야야 나막 알야바로기제새바라야 사바하 namo ratna-trayāya namaḥ āryāvalokiteśvarāya svāhā (나모 라뜨나 뜨라야-야 나마하 아-르야-왈로끼떼쓰와-라 쓰와-하-) 삼보께 귀의합니다 관세음보살께 귀의합니다 사바하 나모 라다나-다라야야 나막 알야바로기제새바라야 사바하 namo ratna-trayāya namaḥ āryāvalokiteśvarāya svāhā (나모 라뜨나 뜨라야-야 나마하 아-르야-왈로끼떼쓰와-라 쓰와-하-) 삼보께 귀의합니다 관세음보살께 귀의합니다 사바하 나모 라다나-다라야야 나막 알야바로기제새바라야 사바하 namo ratna-trayāya namaḥ āryāvalokiteśvarāya svāhā (나모 라뜨나 뜨라야-야 나마하 아-르야-왈로끼떼쓰와-라 쓰와-하-) 삼보께 귀의합니다 관세음보살께 귀의합니다 사바하 #염불 #신묘장구대다라니 #천수경진언 ◇ 불광 블로그(공식) : ◇ 불광 페이스북 페이지 : ◇ 불광 뉴스레터 구독하기 ◇ 불광미디어 인스타그램 : ◇ 불광미디어 홈페이지 세민스님 신묘장구대다라니 108독 :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염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