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미·중 수준 가려면…'돌발 변수' 제어 관건 / SBS 8뉴스

자율주행, 미·중 수준 가려면…'돌발 변수' 제어 관건 / SBS 8뉴스

〈앵커〉 우리는 이렇게 오늘(26일)부터 자율주행 택시가 첫 발을 뗐지만 미국이나 중국에선 오래전부터 이런 택시들이 상업 운행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도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선, 도로에서 일어나는 여러 변수들을 제어하는 게 관건이란 분석입니다   이어서 정성진 기자입니다 〈기자〉 왼쪽 방향지시등을 켜고 자연스럽게 도로에 합류합니다 어두운 밤에도 보행자를 확인하고 멈춰 섭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와 LA 등에서 상업 운행하고 있는 구글의 웨이모 자율주행 택시입니다 1주일에 10만 회 이상 유료 승객을 태우고 있습니다 운전석은 아예 비어 있습니다 중국 베이징과 우한 등에서 운행하는 바이두 로보택시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돌발 상황에 대비해 시험운전자가 탑승하는 자율주행 3단계보다 한 단계 높은 4단계 수준입니다 웨이모의 경우 센서의 역할을 하는 라이다, 카메라 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대비해 '이중화 기술'을 도입했지만, 국내 기술력은 아직 이 수준에 미치지 못합니다 [이재관/한국자동차연구원 자율주행기술연구소장 : (웨이모는) 기본적으로 인지하는 게 있고 그게 만약에 문제가 생겼을 때 다른 게 또 이제 인지할 수 있는, 센서 구성이 이원화가 돼 있거든요 ] 안전을 담보하는 건 빅테크들에게도 쉬운 일이 아닙니다 웨이모처럼 자율주행 4단계 택시였던 미국 GM의 크루즈는 도로에 멈춰 서 차량흐름을 방해하고 보행자 충돌사고까지 내며 지난해 10월 서비스가 전면 중단되기도 했습니다 결국 안전한 4단계 자율주행으로 넘어가기 위해선 도로 위 다양한 돌발 변수들을 제어하는 기술이 확보돼야 하는데, 수많은 데이터를 학습해야 하는 만큼 현재 국내 운행 규모로는 한계가 있단 지적이 나옵니다 [서승우/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 기본적으로 (자율주행 택시를) 100대 이상, 200대, 500대 이런 식으로 뭔가 물량 공세로서 데이터를 확보를 해야 되는 거지, 학습밖에는 답이 없습니다 ] 수집해야 하는 실시간 정보가 워낙 방대하고 돌발 변수 또한 다양하기 때문에 5단계, 완전 자율주행 도입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영상편집 : 오영택, 디자인 : 서승현, 화면출처 : 웨이모 유튜브) ▶ 오늘 밤 운행 시작…국내 첫 자율주행 택시 타보니 ☞더 자세한 정보 #SBS뉴스 #8뉴스 #미국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SBS 뉴스 라이브 : ,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이메일: sbs8news@sbs co kr 문자 #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페이스북: X(구:트위터):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