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연결] '신종코로나' 의료진, 확진자 치료 현황 브리핑 / 연합뉴스TV (YonhapnewsTV)](https://poortechguy.com/image/OP2BgAeYt68.webp)
[현장연결] '신종코로나' 의료진, 확진자 치료 현황 브리핑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현장연결] '신종코로나' 의료진, 확진자 치료 현황 브리핑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관련 의료진이 확진 환자들 치료 경과 등을 설명합니다 현장 연결하겠습니다 [방지환 / TF팀장(중앙감염병병원운영센터장)] 우선 제가 TF 팀장으로서 환자들의 임상 상황을 공유하면서 느끼는 거, 중국과의 차이 등을 먼저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일단 여러분께서 아셔야 될 건 신종 감염병이 터지면 맨 처음에 중증도가 높은 사람들 위주로 발견이 되기 마련입니다 실제로 지금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도 맨 처음에는 4% 가까이 죽는다, 이런 무서운 얘기가 있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치명률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또 중국 내에서도 우한을 포함한 후베이성 지역과 그 외 지역에는 중증도가 굉장히 차이가 납니다 사망률이 차이가 난다는 겁니다 지금 후베이성 지역은 아마도 이렇게 단기간에 많은 환자가 있었으면 아마도 의료시스템이 완전히 붕괴됐을 겁니다 그래서 중증의 환자도 제대로 치료를 못 받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을 테고 그래서 돌아가신 분이 많을 것으로 추정을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중증환자는 바로 응급실로 누구나 갈 수 있지만 중국은 아무래도 우리나라랑 의료전달 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중증환자들이 빨리 제대로 된 치료를 못 받는 경우도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우리가 우리 임상TF에서 환자들 상태에 대해서 논의를 해보면 그렇게 임상적으로 봐서 중증질환은 아니다 우리가 메르스 때는 인공호흡기를 하던 환자도 있었고 에크모를 하는 환자도 많이 있었고 신장기능이 망가져서 투석을 하는 환자들도 많았습니다 그런데 오늘도 저희가 임상TF에서 회의를 하면서 확인한 결과 그렇게 중증으로 갈 환자는 아직까지는 없어 보인다라고 추정이 됩니다 그리고 많이들 걱정하시는 게 감염병에서 좀 문제가 되는 건 얼마나 중증으로의 질환이냐도 중요하고 또 하나는 전파력이 중요합니다 그런데 이제 방금도 말씀드렸던 것처럼 중증도는 그렇게 높지 않은 대개 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면 거의 대부분 문제 없이 회복될 만한 중증도는 낮은 질환입니다 그런데 전파력 여부와 관련돼서 해야 될 말씀이 있는데, 전파력을 얘기할 때 요즘 R0값이라는 얘기를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러니까 환자 한 사람이 얼마나 많은 추가 환자를 만들어 내느냐, 이게 R0값인데 R0값이 사스에서는 한 3 정도로 추정이 됐었고 메르스는 원내감염에서는 한 4 그다음에 원외감염에서 0 6 그리고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전문가들마다 의견이 좀 다르겠지만 대개는 2 정도로 추측이 됩니다 그러면 이렇게 한 사람이 만들어내는 추가 환자 수가 그렇게 오히려 사스보다 떨어지는데 왜 이렇게 빨리 퍼져나가느냐, 그건 세대기라는 게 있습니다, 세대기 그거는 첫 환자가 2차 환자를 만들어내고 2차 환자가 3차 환자를 만들어내는 시간까지의 기간입니다 이 세대기가 짧을수록 전염병이 더 빨리 많이 확장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저희 임상가들이 토의를 해본 결과 중증도는 기존에 있던 사스나 메르스에 비해서 훨씬 떨어진다 그러나 세대기가 조금 그보다 짧은 경향이 있어서 더 빨리 퍼져나가는 게 아니냐라는 이런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희가 환자분이 좋아지면 퇴원도 생각을 해야 하는데 어떤 기준으로 퇴원을 시킬 것이냐 이것도 저희가 고민을 하고 있는데 아마 저희가 듣기로는 질병관리본부에서는 메르스와 비슷한 기준으로 해서 일단 퇴원을 시킬 걸로 알고 퇴원을 시킨다라고 잠정적으로 생각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저희가 환자를 보면서 느끼는 게 이 환자들이 메르스에 비해서 바이러스가 빨리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메르스 기준으로 퇴원시켰을 때 실제로 퇴원 이후에도 바이러스가 계속 나와서 문제 되는 환자는 거의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제 가장 또 관심이 있는 게 치료약이겠죠, 치료약 이 치료약이 사람한테 증명된 명확히 효과가 있는 약은 없지만 동물실험이나 시험관 자료를 보면 치료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