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전, 지난해 32.6조 원 적자...올해 국가 예산의 5% / YTN
[앵커] 지난해 한국전력이 32조 원이 넘는 적자를 내며 역대 최악의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적자가 올해 국가 예산의 5%에 해당할 만큼 막대한 규모인데, 올해도 해소가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보도에 박홍구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한전의 경영 실적은 마이너스 32조 6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한전은 발전회사에서 전기를 사서 소비자에게 팔아 이익을 남기는데, 판매 가격이 너무 싸다보니 손실을 본 것입니다 그런데 손실 규모가 천문학적 수준입니다 올해 국가 예산 638조 원의 5 1%가 한전의 1년 적자인 셈입니다 또 2021년 적자(5조8601억 원)와 비교해도 5 5배가 넘습니다 지난해 3분기까지 영업손실이 21조 8천억 원이었는데, 4분기에만 10조 8천억 원의 적자가 쌓였습니다 [유승훈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정책학과 교수 : (국제 에너지 가격이) 가장 높은 시기가 11월, 12월, 1월이거든요 전기요금은 사실 조금밖에 4분기에 조정이 되질 않다 보니까 적자가 매우 커지게 된 거죠 ] 한전은 지난해 2, 3, 4분기에 걸쳐 총 3차례 전기료를 인상해 전기판매 수익이 1년 전보다 8조 9천억 원 늘었습니다 하지만 자회사와 민간 발전사에서 전기를 사오는 비용은 35조 5천억 원, 훨씬 더 큰 규모로 증가해 적자 폭이 커졌습니다 LNG와 석탄 등 전기 생산에 필요한 연료 가격이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여파로 2배 이상 올랐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LNG 가격은 1년 전보다 113%, 유연탄은 158% 올라 한전이 전력을 사올 때 적용하는 SMP가 급등한 것입니다 정부는 한전의 적자 해소를 위해 올해 1분기부터 전기료를 1kW당 13 1원 인상하고, 2분기 이후에도 더 올려 올 한해 전기료를 51 6원 인상한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난방비 부담 속에 공공요금 동결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한전의 적자 해소는 올해도 쉽지 않아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한전의 적자가 누적되면 전기의 안정적 공급이 위협받을 수 있다며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전기요금을 인상하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YTN 박홍구입니다 YTN 박홍구 (hkpark@ytn co 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 co kr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