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52시간’ 풀면 반도체·AI 순항할까 [경제콘서트] / KBS 2024.11.06.
'주 52시간제'가 다시 뜨거운 감자가 될지 모르겠습니다 '무조건 칼퇴'는 건 문제가 있다며 여당에서 근로기준법 개정안을 냈습니다 반도체와 AI, 이차전지 등 미래 산업을 살리기 위해선 불가피하단 건데요 논란이 불가피하겠죠?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직장인 뒷담화하면 바로 이곳, '블라인드' 솔직하고 적나라한 말들이 거침없이 오가죠 이런 게 한국에만 있겠습니까 미국은 '글래스도어'가 유명한데요 애리조나주에 공장을 둔 타이완 TSMC는 여기서 어떤 평을 받을까요? 장점은 급여가 많다, 단점은 업무 강도가 높다, 일명 '워라밸'이 없다… 별점 5점 만점에 3 1점, 직원 43%만 친구에게 추천하겠다고 합니다 세계 1위 반도체 업체치곤 평가가 박하죠? 고강도 업무 때문입니다 회사 입장에서 보자면, 근로 시간 규제에서 자유롭다는 겁니다 미국도 법정 근로시간은 주 40시간 이게 어떻게 가능할까요? 일명 '전문직 면제' 조항 때문입니다 주급 684달러, 100만 원 정도 연봉 10만 7천여 달러, 1억 5천만 원가량을 넘으면 법정 근로시간에서 자유롭습니다 무제한 초과근무가 된단 얘기입니다 타이완, 일본도 비슷한 예외를 두고 있고, 반도체에 사생결단 중인 중국은 아침 9시부터 밤 9시까지 주 6일 일한다는 일명 '996' 문화가 있습니다 삼성전자 사장을 지낸 고동진 국민의힘 의원이 그제(4일) 비슷한 법을 발의했습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바이오, 이차전지 등 첨단산업의 연구개발 직원은 주 52시간 예외로 하자는 겁니다 필요할 땐 고강도 업무가 가능해야 미래 산업이 산다는 설명입니다 찬반이 치열하겠죠? '경영 실패를 왜 직원 탓으로 돌리나' '근로자 건강권은 어떻게 할 거냐' 반발이 클 게 뻔합니다 법이 바뀌면 가장 큰 영향을 받을 삼성전자노조도 입장을 냈습니다 첨단 산업에 종사한다고 노동자 권리를 침해하는 건 안된다, 명확한 반대 입장입니다 지금까지 ‘경제핫클립’이었습니다 영상편집:김철 ▣ KBS 기사 원문보기 :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 이메일 : kbs1234@kbs co 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칼퇴 #주52시간 #근로기준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