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스트셀러보다 스테디셀러ㅣ테스형, 책 써서 팔자 고치기는 어렵겠지만 계속 쓰는 삶을 살고 싶어ㅣ판매 목표 부수는 10년에 1만 권ㅣ책방 주인이 된 사회학자 노명우
#도서정가제 #한국출판시장현실 #나는왜쓰는가 ㅣ발제자 소개: 노명우, 책방 주인이 된 사회학자 베를린 자유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론이 이론을 낳고 이론에 대한 해석에 또 다른 해석이 덧칠되면서 사회로부터 고립되어 가는 폐쇄적인 학문보다는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에서 연구 동기를 찾는 사회학을 지향한다 2018년 9월 2일 서울 은평구 연신내의 골목길에 작은 동네 책방 '니은 서점'을 차렸다 지은 책으로는 『세상물정의 사회학』 등이 있으며, 최근 서점 주인이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책을 읽고 사람들을 만나고 세상을 바라보면서 책의 생태계를 둘러싼 흥미진진한 이야기들을 진솔하게 담아낸 『이러다 잘될지도 몰라, 니은서점』를 펴냈다 ㅣ"도서정가제를 생각한다: 다시, 책이란 무엇인가" 본 영상은 인문사회과학출판인협의회( '인사회', )에서 도서정가제의 이해를 위하여 기획, 제작한 콘텐츠입니다 한 권의 책을 만들고 소개하며 읽는 삶을 영위하며 살아가는 출판서점인들은 각자 어떻게 도서정가제를 바라보고 있을까요? 오는 2020년 11월 20일, 현행 도서정가제의 일몰 기한을 앞두고 문화체육관광부의 도서정가제 개악 논란이 출판계 현안으로 부상했습니다 출판문화생태계에 미쳐온 도서정가제의 긍정적인 영향에 관해 우리는 모두 잘 알고 있습니다 반면에 현행 도서정가제의 한계에 대한 고민과 이견이 존재한다는 사실도 잘 알고 있습니다 도서정가제를 지킨다는 대의에는 굳게 공감하더라도, 이 문제를 둘러싼 다양하고 솔직한 생각과 성찰적 목소리를 듣는 일이 필요한 이유입니다 지금 일선에서 책과 독자들을 잇고 있는 출판생태계 구성원의 목소리를 듣는 장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지금 우리 출판인과 독자들에게 도서정가제란 무엇인지, 더 나아가 책이란 무엇이며, 책을 읽고 나누는 일이 앞으로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진솔한 의견을 듣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