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브리핑] 北, 김여정 담화 이어 대남비난 일색…진짜 속내는?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한반도 브리핑] 北, 김여정 담화 이어 대남비난 일색…진짜 속내는?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한반도 브리핑] 北, 김여정 담화 이어 대남비난 일색…진짜 속내는? [출연 :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북한이 일부 탈북자단체의 대북전단 살포를 이유로 아주 강경한 논조의 대남 담화를 내놓으면서 남북관계가 2018년 2월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 이후 최대의 위기에 처했습니다 지난 4일 김여정 제1부부장이 북한 주민들도 볼 수 있는 노동신문을 통해 이례적으로 담화를 발표했는데요 대북전단 살포가 계속되는 데 대해서 강한 불쾌감을 표하면서 개성공단 완전 철거와 남북군사합의 파기 가능성까지 거론했습니다 그다음 날엔 북한 통일전선부가 대변인 담화를 통해 첫 조치로 개성공단에 있는 남북연락사무소부터 폐지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갈 데까지 가보자', '남측이 몹시 피로해 할 일판을 준비 중'이라는 말도 했습니다 북한의 엄포대로 조치가 실행되면 남북관계는 2년 6개월 이전으로 돌아가게 되고, 문재인 정부가 힘겹게 쌓아온 성과들이 물거품이 될 수 있습니다 북한은 요즘 연일 대학생과 주민들을 동원해 대남 규탄집회까지 열고 있는데요 북한 지도부가 이처럼 격앙된 모습을 보이는 이유가 뭘까요? 또 문재인 정부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질문 1]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여동생이자 북한정권의 2인자죠,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탈북민의 대북전단 살포에 불쾌감을 표하면서 남북 군사합의 파기 가능성까지 거론했고, 그 다음날, 통일전선부 대변인도 담화를 통해 "남북연락사무소를 폐지할 수 있다"면서 "적은 역시 적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갈 데까지 가보자" 이런 경고까지 했는데요 북한당국이 무척 화가 난 것 같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질문 2] 그동안 김여정의 담화는 대외매체에만 등장했는데, 이번에는 북한 주민들도 모두 볼 수 있는 노동신문에 담화를 실었습니다 이건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 북한에서 부문별 대남 규탄집회가 시작됐다는 점도 주목해야겠는데요 북한이 평양종합병원 건설현장, 김책공업종합대학에서 대북전단 살포를 비난하는 항의집회를 열었고요 고위간부들의 발언을 연일 소개하면서 남측 정부와 탈북민을 비난하는 대대적인 여론몰이에 나섰는데요 이 부분은 어떻게 보셨습니까? [질문 4] 그동안 북한은 우리 민간단체가 보내는 대북전단에 민감하게 반응해 왔는데요 지난 2014년 10월엔 북한이 우리 민간단체가 경기도 연천에서 날린 대북 전단 풍선에 고사총을 쏘며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기도 했죠? [질문 5] 정부가 김여정 부부장의 담화에 응답해 탈북단체의 전단 살포를 막을 법률안 등 제도개선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는데요 어떤 형태의 법률안이 마련될 수 있을까요? [질문 6] 현재 우리 정부는 북한의 담화문에 대해 "남북 간 합의사항을 준수하겠다"라는 입장을 내놨는데요 하지만 우리 정부의 대북전단 금지 법안 추진 등에 대해서도 북한의 반응은 냉랭하죠? 따라서 판문점 견학 재개나 남북 민간교류처럼 정부가 내놓은 사업이 차질을 빚을 수 있단 우려도 나오고 있는데,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질문 7] 하지만 탈북단체는 6·25 전쟁 70주년을 맞아 다시 대북전단 100만 장을 살포하겠다는 계획인데요 이런 대북전단 살포단체의 후원금은 어디서 나오는 건가요? 대략 전단 살포 비용이 어느 정돈지도 궁금한데요? [질문 8] 이번 담화에서 눈에 띄는 점은 김여정 제1부부장을 '대남사업을 총괄하는 제1부부장'이라고 명시했다는 점인데요 대남사업 총괄 제1부부장이라는 직함은 처음 들어봅니다 그만큼 지위가 격상돼 2인자로서의 위치를 굳혔다는 뜻일까요? [질문 9] 북한은 또 접경지역을 이야기하면서 "남측이 몹시 피로해 할 일판을 준비하고 있으며 이제 시달리게 해주려고 한다"고 경고했는데요 북한이 남측이 피로해 할 일판이라는 게 뭘까요? 사실상 군사도발 감행 의지로 해석할 수 있을까요? [질문 10] 지난 2018년 말 문을 연 남북공동연락사무소는 '코로나19'로 인해 잠정 중단하고, 평일 서울-평양 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