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정 권상호의 서예 실기 - 5체로 입춘첩 쓰기](https://poortechguy.com/image/PRzf5jLTYZg.webp)
도정 권상호의 서예 실기 - 5체로 입춘첩 쓰기
전서, 예서, 초서, 해서, 행서로 입춘첩 쓰기 - 입춘첩 쓰기: '봄이 오니 준비하라'는 의미의 입춘(立春) 날에 입춘첩(立春帖)을 써서 대문이나 기둥에 붙이는 풍습이 있다. 입춘첩은 춘첩(春帖), 입춘방(立春榜), 춘방(春榜), 입춘축(立春祝), 입춘서(立春書), 춘첩자(春帖子), 춘축(春祝), 입춘대련(立春對聯), 춘련(春聯) 등으로 불린다. 입춘첩이란 입춘날 한 해 동안의 행복을 축원하기 위해 대문(大門)ㆍ기둥ㆍ난간(欄干)ㆍ대들보 등(等)에 써 붙이는 글을 뜻한다. 입춘첩의 내용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내용은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인데, 여기서 건양(建陽)은 조선 개국(開國) 505년에 처음으로 쓴 고종(高宗) 33년부터 다음해 7월까지의 연호(年號)이다. 서기(西紀) 1896년부터 1897년에 해당한다. #입춘첩 #춘첩 #입춘방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