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라이브] 尹의 새판짜기, 어디로?...극약처방 내린 김종인 / YTN

[뉴스라이브] 尹의 새판짜기, 어디로?...극약처방 내린 김종인 / YTN

■ 진행 : 김선영 앵커, 김대근 앵커 ■ 출연 : 김수민 / 시사 평론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앵커] 정치권 핵심 키워드로 대선 정국 짚어보는 시간입니다 [앵커] 김수민 시사평론가와 정리해 보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앵커] 대선 정국 첫 번째 키워드 내용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어제 하루 속보를 종합해 보면 그야말로 사퇴 쓰나미였다 이렇게 표현할 수 있는데 선대위가 거의 폭파했다, 이렇게 표현해도 되는 거죠? [김수민] 그렇습니다 그리고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의 거취는 어떻게 되는 거냐, 이것을 두고도 여러 혼선이 있었거든요 항간에서는 김종인 위원장 포함해서 모두 사퇴한다라는 얘기가 있었고 김종인 위원장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그런 얘기를 한 적이 없다라고 밝혔고 결국에는 총괄위원장은 유지가 되는 상태로 정리가 됐는데 김종인 1명의 자리 외에는 여러 자리를 다 들어냈다라고 할 수 있는 그런 상황이고 앞으로 하루 이틀 정도는 더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데 어쨌든 현재는 선대위가 절대 대부분이 공백 상태가 되는 그런 발표가 어제 이어졌습니다 [앵커] 그런데 며칠 전만 해도 선대위 개편은 이제 대선 두 달 남았는데 별 의미 없다, 이런 취지의 발언들이 나왔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좀 급작스러운 느낌도 있어요 [김수민] 대선이 두 달 남았기 때문에 선대위 전면 개편이 어렵다, 이게 김종인 위원장의 입장이었었죠 이 말은 대선 두 달은 얼마 남지 않은 시간이다라는 뜻을 갖고 있는데 현재는 대선 두 달도 많이 남은 시간이다라고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일단은 어쨌든 윤석열 후보의 지지율이 하락세로 들어서 있다는 것이 신년을 맞아 치러졌던 여러 여론조사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난 부분이 있고 그리고 윤석열 후보가 최근에 예를 들어서 대구경북 지역이라든지 이쪽을 방문해서 발언이 좀 거칠어졌어요, 메시지들이 같잖다, 미쳤다 이런 표현들까지 나올 정도인데 이 상황에서 그대로 놔두면 안 되겠다라고 하는 김종인 위원장의 판단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한마디로 극약처방이 필요한 시점이다라는 생각으로 김종인 위원장이 그립을 강하게 잡고 어제 선대위 해체라는 카드를 꺼내 든 건데 사퇴 포문을 연 사람은 신지예 부위원장입니다 윤석열 후보가 어제 신지예 씨 사퇴 이후 곧바로 2030에게 진심으로 죄송하다, 이런 사과글을 올리기도 했어요 [김수민] 신지예 새시대위원장 부위원장의 사퇴는 어떻게 보면 당내에도 큰 책임이 있다라고 하는 그런 선언이었습니다 이준석 대표에게 책임을 묻고 있고 본인도 윤석열 후보 쪽으로 왔더니 당내에서 더 많은 저항을 받았다라고 불만을 토로를 했거든요 그런데 이 행위는 어떻게 보면 새시대준비위원회라든지 이런 골격은 지키려고 하는 노력의 일환이었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신지예 당시 부위원장도 언론 인터뷰에서 부위원장직은 사퇴를 하지만 새시대준비위원회 활동은 계속할 거다라고 얘기를 했는데 그런데 그 이상으로 흐름이 진행됐거든요 새시대준비위원회도 해체를 하는 것으로 그렇게 진행이 되고 전반적으로 선대위를 완전히 다시 개편하는 쪽으로 그렇게 흐르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일단 윤석열 후보는 신지예 씨 영입에 대해서 2030세대의 젠더 갈등을 기성세대의 눈으로 보고 있었다라고 하면서 사실상 사과 내지는 반성의 입장을 내놨습니다 이렇게 되면 새시대준비위원회 전체적으로 쓰임새가 많이 사라진 것이 아니냐 이렇게 또 볼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