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독 시끄러운 5·7호선…이 정도였어? '충격 수준' / SBS 8뉴스

유독 시끄러운 5·7호선…이 정도였어? '충격 수준' / SBS 8뉴스

〈앵커〉 지하철을 타면 어떨 때는 소음이 너무 커서 안내방송조차 잘 들리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소음을 관리하는 기준을 확인한 결과, 객차 내부는 기준이 따로 없었고, 외부 기준에 맞추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김민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서울 지하철 5호선, 공덕과 마포역 사이 구간 객차 안 소음을 측정해 보니, 80dB(데시벨)을 넘어서 90dB까지 올라갑니다 6호선 녹사평과 버티고개역 사이 구간에서도 소음 측정기 수치는 90dB 가까이 치솟습니다 [심상문/서울시 은평구 : 시끄러우니까요 열차 소리 때문에 안내방송도 안 들리고 전화 소리도 안 들리고 ] 국가소음정보시스템 기준을 보면, 80dB은 청력 장애가, 90dB은 난청 증상이 시작될 수 있는 매우 시끄러운 수준입니다 지난 2022년을 기준으로, 서울 지하철 이용객의 1회 평균 이동거리는 13 73km 한 번 타면 20분 정도, 객차 안 소음에 노출되는 것입니다 곡선 구간을 지나거나 바퀴가 레일에 긁힐 때 나는 소리가 소음의 주된 원인인데, 곡선 구간이 많고, 터널 깊이가 깊은 5호선과 7호선이 특히 객차 안 소음이 심각합니다 서울교통공사 조사 결과, 이 두 노선의 측정 구간 절반 이상에서 최고소음이 80dB을 넘었습니다 서울교통공사는 환경부 고시를 따라 객차 안 소음 기준을 '80dB 이내'로 정했는데, 이를 초과하는 소음인 것입니다 또 다른 문제도 있습니다 환경부 고시는 객차 안이 아닌 객차 밖, 그러니까, 승강장이나 레일 주변의 소음을 관리하기 위한 기준입니다 객차 안은 훨씬 덜 시끄러워야 할 텐데, 내부 소음 기준을 따로 만들지 않고, 외부 기준을 그대로 적용해 버린 것입니다 대전과 부산에선 내부 기준을 별도로 마련해, 각각 76, 75dB 이하로 관리 중입니다 [김위상/국민의힘 의원 (국회 환경노동위) : 지금까지 엉뚱한 기준으로 전동차 실내 소음을 관리했으니 잡힐 일이 없었습니다 환경부는 적정 기준과 측정 방법을 조속히 (수립해야 합니다 )] 서울교통공사는 80dB을 넘는 구간이 일부 있지만, 전체 평균은 기준치 이내인 73dB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내부 소음 기준이 별도로 만들어져야 한단 지적에 대해서는 연구용역을 통해 검토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영상취재 : 전경배·한일상, 영상편집 : 윤태호, 디자인 : 홍지월·김나미) ☞더 자세한 정보 #SBS뉴스 #8뉴스 #지하철 ▶SBS 뉴스 채널 구독하기 : ♨지금 뜨거운 이슈, 함께 토론하기(스프 구독) : ▶SBS 뉴스 라이브 : , ▶SBS 뉴스 제보하기 홈페이지: 애플리케이션: 'SBS뉴스' 앱 설치하고 제보 - 카카오톡: 'SBS뉴스'와 친구 맺고 채팅 - 페이스북: 'SBS뉴스' 메시지 전송 - 이메일: sbs8news@sbs co kr 문자 # 누르고 6000 전화: 02-2113-6000 홈페이지: 페이스북: X(구:트위터): 카카오톡: 인스타그램: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