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차르트 오페라 '마술피리' K.620

모차르트 오페라 '마술피리' K.620

모차르트 오페라 '마술피리' K 620 by Horst Stein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Wolfgang Amadeus Mozart ] 출생 - 사망 : 1756년 ~ 1791년 국적 : 오스트리아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독일어: Wolfgang Amadeus Mozart, 1756년 1월 27일 ~ 1791년 12월 5일)는 오스트리아의 서양 고전 음악 작곡가이다 궁정 음악가였던 아버지 레오폴트 모차르트에게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배웠고, 그 후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아들인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에게서 작곡하는 법 및 지휘를 배웠다 35년의 생애 동안 그는 수많은 교향곡, 오페라, 협주곡, 소나타를 작곡했으며, 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작곡가 중 한 명으로 여겨지고 있다 오늘날 모차르트는 “음악의 신동” 이란 별칭으로 불리며 널리 존경받고 있다 [생애] 1756년 1월 27일 잘츠부르크에서 태어났다 출생 직후에 가톨릭의 성당에서 받은 세례명은 요하네스 크리소스토무스 우올프강구스 테오필루스 모차르트(라틴어: Johannes Chrysostomus Wolfgangus Theophilus Mozart)였다 흔히 알려진 중간성명인 아마데우스(독일어: Amadeus)는 세례명에 있는 중간성명인 라틴어 테오필루스(Theophilus)를 같은 뜻의 독일어로 바꾼 것이다 그의 아버지인 레오폴트 모차르트는 잘츠부르크 궁정 관현악단의 음악 감독이었는데, 볼프강의 누나인 난네를을 어려서부터 가르쳤고 , 이를 볼프강은 지켜보았다 세 살 때부터 볼프강은 누나를 보고, 스스로 건반을 다루고 연주하는 법을 터득했다 아버지 레오폴트 모차르트는 어린 아들의 재주를 보았고, 아들의 음악적 재능이 뚜렷이 빛을 발하게 되면서 작곡을 그만두었고, 볼프강에게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가르쳤다 그는 피아노와 바이올린에 매우 뛰어났다 난네를의 뮤직북에 쓰여진 레오폴트 모차르트의 기록에 따르면 어린 볼프강은 네 살 때 여러 곡을 배웠다고 한다 모차르트의 음악적 능력은 빠르게 발달하여, 다섯 살 때 이미 작곡을 하기 시작했다 사람들은 모차르트를 믿지 못하여 일부러 모차르트의 집에 찾아와서 모차르트를 시험해 보았다 사람들은 모차르트의 아버지인 레오폴트 모차르트가 모차르트의 곡을 써주었다고 의심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모차르트는 그 사람들에게 뛰어난 작곡 실력과 재능을 보였고, 사람들은 그제서야 모차르트를 믿기 시작하였다 그 후 아버지 레오폴트 모차르트는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아들인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에게 아들을 보내 작곡하는 법에 대한 기예를 더 배우게 했다 1777년 모차르트는 어머니 안나 마리아 모차르트와 함께 독일 뮌헨, 만하임, 프랑스 파리를 여행하면서 많은 음악가를 만났는데, 그 가운데 1764년에서 1765년 사이 영국 런던에서 만난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는 바흐에게서 처음으로 교향곡을 작곡하는 법을 배웠으며 이러한 토대로 모차르트는 사후까지 수많은 걸작의 교향곡을 남기는 중요한 계기가 된다 [베토벤과의 만남] 또한 모차르트는 오스트리아 빈에서 생활하던 1784년에 루트비히 판 베토벤과도 만났다 그는 어려운 집안사정에도 자신을 찾아온 베토벤을 반갑게 맞이하였는데, 이 때 베토벤의 나이는 불과 14세였다 모차르트는 베토벤이 자신의 곡을 즉흥적으로 또 다른 작품으로 훌륭히 소화하자 칭찬을 아끼지 않았으며, 교육비를 일절 거절하고, 베토벤을 가르치는데 전념했다 그러나 베토벤은 어머니가 사망하였다는 소식을 듣자 모차르트에게 작별인사를 하고 오스트리아 빈을 갑작스럽게 떠났다 만난 지 불과 한 달만의 일로 이것이 두 거장의 마지막 만남이었다 (베토벤이 다시 오스트리아 빈에 찾아온 건 1792년으로 그 때는 모차르트가 죽은지 1년이 지난 후다 ) 그러나, 이 이야기의 전거는 오토 얀이 저술한 모차르트의 전기가 유일하다 따라서 오늘날은 베토벤과 모차르트가 만났다는 일화에 대한 신뢰성을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죽음] 모차르트의 초상화 Johann Nepomuk della Croce의 1780년 경 작품 모차르트의 죽음과 그 원인에 대해서는 수많은 전설을 비롯하여 학설이 많다 낭만적인 주장으로는 모차르트의 건강이 점점 약해지면서 그의 모습과 작품 역시 다가오는 죽음과 함께 쇠퇴하였다는 것이 있다 반면에 다른 학자들은 모차르트의 마지막 해가 그에게 성공적이었으며, 그의 죽음이 가족들에게 충격이었다는 점을 들어 그의 죽음이 급작스러웠다고 주장한다 그의 죽음의 원인 또한 추측이 무성하다 기록에는 그가 "무수히 난 좁쌀만한 발열"("hitziges Frieselfieber")로 죽었다고 되어 있는데, 현대의학으로 진단할 수 있는 것에 비해서는 충분한 정보가 되지 못하고 있다 사인에 대한 학설 중에는 선모충병, 중독, 류머티스열, 덜 익힌 돼지고기에 의한 식중독 등이 있다 환자의 피를 뽑았던 당시의 의술도 모차르트의 죽음을 앞당기는 데에 이바지했다고 본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1791년 12월 5일 오전 0시 55분경에 죽었다 아내 콘스탄체는 모차르트가 완성하지 못한 작품 레퀴엠의 완성을 여러 제자에게 맡겼으나 끝내 완성하지 못하다가 결국 프란츠 크사버 쥐스마이어(Franz Xaver Süssmayr)가 완성했다 모차르트가 가난과 무관심 속에서 죽었다는 이야기와 다르게 그는 나름 만족할 만한 수입이 있었고, 체코 프라하 같이 멀리 떨어진 곳에서 꾸준한 작곡 의뢰를 받았다 그가 말년에 전성기 때만큼의 명성을 누리지는 못했으며 돈을 꿔 달라고 쓴 편지가 있지만, 이는 그가 가난해서가 아니라 번 돈보다 더 많이 썼기 때문이었다 그 실례로 모차르트가 입은 옷은 보석으로 장식된 화려한 의상이었다 모차르트는 빈 외곽의 성, 마르크스 묘지에 묻혔다 New Groove에 따르면 그가 여러 사람과 함께 묻힌 것은 사실이나 그것은 가난해서가 아니라 당시 오스트리아 빈 중산층의 장례 풍습대로였다 그것은 잘 정비된 묘지였으며 나무로 된 것이었으나 묘비도 있었다 묘비가 나무였던 것 또한 당시 오스트리아 빈 중산층의 장례 풍습에 따른 것이었다 실제 당시 오스트리아 빈에서는 화려한 장례가 엄격히 금지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장례식 날 비가 오고, 천둥이 쳤다고 하나 New Groove에 따르면 사실은 구름 한 점 없는 쾌청한 날이었다고 한다 현재 모차르트의 무덤의 위치를 알 수 없는 것은 성 마르크스 묘지가 더 많은 묘지를 수용하기 위해 이장을 거듭하였기 때문이지 아무렇게나 묻었기 때문은 아니다 아내 콘스탄체 모차르트는 남편이 죽은 후 추모 음악회, 미발표 작품의 출판 등으로 경제적으로 성공하였다 1809년 그녀는 덴마크 출신 외교관이었던 게오르크 니콜라우스 폰 니센(Georg Nikolaus von Nissen)과 재혼했다 그들은 덴마크로 이주했다가 다시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로 돌아와 여생을 마감했다 콘스탄체와 새 남편은 모두 모차르트에 대한 전기를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