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 (2월 22일) / YTN
[박향 /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 2월 22일 화요일 중대본 브리핑 시작하겠습니다 주요 방역지표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확진자의 규모는 계속 증가 추이를 보이고 있지만 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는 당초 예측 범위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위중증 환자 수는 오늘 기준 480명입니다 오미크론의 중증화율 0 38로 델타의 1 4% 대비해서 약 4분의 1 정도의 수준이 되겠습니다 이에 따라서 확진자 증가 규모에 비해서는 중증 환자 발생이 낮은 수준으로 증가하는 중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사망자 주간 평균은 49 3명입니다 오늘 기준 58명입니다 고인의 명복을 빌고 또 유가족들에게도 심심한 위로의 말씀 전하겠습니다 어제 질병청 브리핑에서도 분석해 드렸듯이 오미크론의 전파력은 높지만 중증도가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고 또 해외에서뿐만 아니라 국내 자료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작년 12월 이후에 델타 또는 오미크론 변이가 확정된 6만 7000여 명의 연령을 표준화해서 비교해 봤습니다 그 결과 치명률은 델타가 0 7%, 오미크론은 0 18%입니다 오미크론은 델타에 비해서 약 4분의 1 이하의 치명률이고 계절독감으로는 2배 수준이 되겠습니다 OECD 주요 국가에서도 오미크론의 치명률은 0 1에서 0 2 정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자료에서도 역시 유사한 치명률이 분석되고 있습니다 델타와 비교하지 않은 시점상 치명률을 경우 1월 23일부터 1월 29일까지 봤을 때 1주간 치명률은 0 13입니다 1월 첫째 주 치명률인 0 78, 둘째 주 0 48과 비교하면 꾸준히 낮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오미크론의 낮은 치명률은 오미크론 자체의 특성과 또 우리나라의 높은 예방접종력 그리고 고위험 환자 중심의 대응 체계 전환과 안정된 의료체계 결과로 보입니다 오미크론도 60세 이상과 미접종자에게는 치명률이 더 높아지는 특성은 델타와 동일합니다 다만 치명률 자체는 더 낮아지고 있습니다 연령적으로 볼 때 60대 이상 치명률은 델타에 비해서 3분의 1 이상 낮게 나타나고 있고 50대 이상에서의 치명률은 극히 낮습니다 미접종자는 12세 이상이 5 9%에 불과한 소수입니다 그렇지만 지난 8주간 중환자 62 1%, 사망자의 65 4%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이런 결과로 접종을 받지 않은 60세 이상의 경우 가장 위험성이 크고 주의해야 될 인구집단이 되겠습니다 접종을 완료한 50대 이하의 경우 치명률은 거의 0에 가깝게 위험도가 떨어집니다 오미크론의 특성을 고려해 확진자 숫자보다 중증과 사망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의료체계 대응 여력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전파력이 강한 특성상 델타 때처럼 확진자 발생을 억제하는 노력은 효과성이 떨어지고 이를 위한 희생은 점점 더 커집니다 반면에 중증도는 낮아서 효율성 또한 떨어지고 있습니다 위험도가 높은 환자 발견과 치료에 주력하면서 중증과 사망을 최소화하는 대응체계 전환을 추진하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입니다 그 이외의 환자들은 일상적인 의료체계가 담당을 하고 추가 확산을 적절하게 차단하고 조기에 사회에 복귀하는 체계로 이행하고 있는 것이 주요 방향입니다 현재는 오미크론의 위험도를 계속 확인하면서 풍토병적인 관리 체계로 전환하기 시작한 초입 단계가 되겠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낮은 치명률을 유지하고 유행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면 최종적으로는 오미크론도 다른 감염병과 같은 관리체계로 이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아직은 갈 길이 멀지만 출구를 찾는 초입에 들어선 셈이 되겠습니다 의료체계는 (중략)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