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Search
알쓸영사(알아두면 쓸모있는 영화사전) #36: 색채(color)와 질감(texture) 2: 영화 색채의 세계
#색채#질감#texture#color ROKSA의 Cinémathèque(알쓸영사) 서른여섯번째 이야기
show
알쓸영사(알아두면 쓸모있는 영화사전) #36: 색채(color)와 질감(texture) 2: 영화 색채의 세계
알쓸영사(알아두면 쓸모있는 영화사전) #38: 색채(color)와 질감(texture) 4: 색채의 정서적 효과 [쉰들러 리스트]
알쓸영사(알아두면 쓸모있는 영화사전) #39: 색채(color)와 질감(texture) 5: 색채의 서술적 효과 [똑바로 살아라], [마지막 황제]
알쓸영사(알아두면 쓸모있는 영화사전) #35: 색채(color)와 질감(texture) 1: 질감이란 무엇인가?
알쓸영사(알아두면 쓸모있는 영화사전) #37: 색채(color)와 질감(texture) 3: 색채의 상징성 [파란대문]
알쓸영사(알아두면 쓸모있는 영화사전) #2: 영화 스타일과 미장센
알쓸영사(알아두면 쓸모있는 영화사전) #1: 영화용어를 알아야 하는 이유, 영화감상의 순수한 즐거움VS영화 이해의 폭의 확장
알쓸영사(알아두면 쓸모있는 영화사전) #4: 영화 프레임의 미학적 기능
알쓸영사(알아두면 쓸모있는 영화사전) #11: 숏, 신, 시퀀스의 미학적 결합
알쓸영사(알아두면 쓸모있는 영화사전) #5: 영화 프레임의 상징적 의미
알쓸영사(알아두면 쓸모있는 영화사전) #40: 조명(lighting)과 톤(tone) 1: 영화의 톤과 조명의 역할
알쓸영사(알아두면 쓸모있는 영화사전) #28: 숏의 유형과 기능 2: 숏의 기능 (설정숏, 풀숏, 니숏)
알쓸영사(알아두면 쓸모있는 영화사전) #27: 숏의 유형과 기능 1: 숏의 크기 (롱숏, 미디엄 숏, 클로즈업)
알쓸영사(알아두면 쓸모있는 영화사전) #46: 셔레이드(Charade) 1: 셔레이드의 개념과 분류
알쓸영사(알아두면 쓸모있는 영화사전) #29: 숏의 유형과 기능 3: 프레이밍과 숏의 종류
알쓸영사(알아두면 쓸모있는 영화사전) #15: 카메라 움직임 1: 고정 촬영
알쓸영사(알아두면 쓸모있는 영화사전) #48: 셔레이드(Charade) 3: 신체언어를 이용하는 셔레이드 II
왜 영화 속 악당이나 독은 초록색일까?
471 마카 연습 + 작품 까지
알쓸영사(알아두면 쓸모있는 영화사전) #9: 숏, 신, 시퀀스의 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