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 창덕궁(조선왕조의 비밀정원)

세계문화유산 창덕궁(조선왕조의 비밀정원)

#창덕궁후원 #창덕궁달빛기행 #창덕궁비원 #창덕궁브이로그 #창덕궁복원 #창덕궁해설 #창덕궁빗소리 #창덕궁외국인 #창덕궁낙선재 #창덕궁고양이 대자연속TV 구독하기 충주호의 절경 기암괴석의 제비봉 산행 임꺽정봉 하늘길 데크로 올라 출렁다리로 하산하는 감악산 산행 서울의 야경과 남한산성 산행 창덕궁 관람/ ★소재지/서울시 종로구 와룡동과 원서동 일대 ★관광일자/2021년 9월2일 화요일 ★창덕궁/ 사적 제 122호인 창덕궁은 서울 종로구 와룡동에 위치해있다 총면적이 약 16만6천평으로 정궁인 경복궁보다 더 넓다 조선조 3대 임금 조선 태종이 1405년 제2의 왕궁으로 창덕궁을 창건했다 그럼으로서 수도 한양의 서쪽에는 경복궁이 동쪽에는 창덕궁이 위치하여 균형잡힌 도시공간을 구성할수 있었다 임진왜란으로 서울의 모든 궁궐이 불탄 후 경복궁은 재건되지 않았고 270여년 동안 창덕궁이 조선왕조 제1의 정궁으로 역할 하였으며 마지막 임금 순종 때까지 사용된 최후의 궁궐이기도 하다 동쪽의 창경궁과 함께 하나의 궁궐로 사용되어 동궐이란 별칭을 갖고있다 중국을 비롯한 동양의 궁궐 예제는 남북 중심축을 따라 엄격하게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경복궁 역시 이 제도를 따랐다 그러나 산자락에 자리잡은 창덕궁은 인위적인 제도를 벗어나 주변 자연 지형에 순응하고 변화를 거듭하면서 가장 한국적인 궁궐이 되었다 왕실 생활에 편리하면서도 친근감을 주는 공간 구성은 경희궁 덕수궁등 다른 궁궐 구성에 영향을 주었다 1917년 대조전을 비롯한 내전들이 불타 없어지자 경복궁의 전각들을 헐어다 옮겨 짓는 등 많은 건물들이 변형 훼손 철거되었다가 1991년 부터 복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덕궁은 조선 궁궐의 원형을 비교적 충실히 지니고 있으며 동궐의 후원은 한국 전통 조경의 특성과 아름다움을 가장 휼륭하게 구현한 예로 평가된다 1997년 12월 유네스코에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네이버 블로그 다음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