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명절과 풍속 설날](https://poortechguy.com/image/RNn6ve5VNdY.webp)
한국의 명절과 풍속 설날
설날에 대한 기록은 삼국시대 처음 나타나며 ‘삼가다’‘나이를 먹는다’는 뜻이 있다 섣달 그믐날은 까치설 제야(除夜)로도 부르며 대청소를 하고 차례음식과 세찬(歲饌),세주(歲酒) 설빔을 준비하고 온 집안에 불을 밝히고 초롱불을 들고 묵은세배(歲拜)를 드리고 잠을 자지 않고 새해를 맞이하는 수세(守歲)와 궁중 나례풍속이 있다 설빔(歲粧)풍속은 설날 수릿날(端午) 가위날(秋夕)이 있으며 어른과 아이들 모두 새옷으로 갈아입고 차례와 성묘를 지내고 음복으로 떡국을 먹고 세배를 다닌다 어린 아이들은 색동옷을 입는데 때때옷이라 부르기도 한다 설날 첫 음식인 흰 떡국은 ‘첨세병(添歲餠)’이라 부르며 순수함과 밝은 뜻의 흰 떡을 먹음으로서 천지 만물의 탄생과 새로운 출발을 의미한다고 보기도 하며 저녁에는 주로 만두를 넣어 먹는데 이는 복을 싸서 먹는다고 생각한다 설날 새벽 왕은 종묘 제사를 지내고 신하들의 조하(朝賀)를 받으며 민간에서는 세배 다니면서 주인이 없으면 명함을 놓고가는 세함(歲啣)과 삼재를 막는 세화(歲畵)를 붙이는 문배(門排)풍속이 있는데 주로 매나 호랑이그림을 붙였다 신년운수보기로 토정비결 윷점이 있고 동제 (洞祭) 농악놀이와 지신밟기를 한다 연날리기 윷놀이 등 겨울철 전래놀이와 고궁방문, 여행 얼음축제 다양한 취미활동을 즐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