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습기살균제 조정안 사실상 무산…옥시·애경 ‘거부’ / KBS 2022.04.06.](https://poortechguy.com/image/SYfYMhYyN2w.webp)
가습기살균제 조정안 사실상 무산…옥시·애경 ‘거부’ / KBS 2022.04.06.
가습기살균제 참사 11년 만에 마련된 피해 구제 조정안이 무산될 위기에 처했습니다 옥시, 애경 두 기업이 조정안을 거부했기 때문인데요, 피해자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호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옥시를 규탄한다 규탄한다 "] 가습기살균제 피해 구제를 위한 최종 조정안이 참사 11년 만인 지난주에 마련됐지만, 일주일 만에 무산 위기를 맞았습니다 옥시와 애경 산업이 거부했기 때문입니다 [최예용/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 : "옥시, 애경이 가장 많이 판매하고, 가장 많이 피해를 낸 두 기업이 합의한 조정안마저도 책임지지 못하겠다고 저렇게 무책임한 태도로 나오는 것입니다 "] 가습기 살균제를 제조, 판매한 9개 기업 중 피해자 수 1, 2위인 옥시와 애경의 지원금은 총 5,600억 원, 전체 지원금의 60%를 넘습니다 두 기업이 지원을 거부할 경우 피해자 지원은 불가능합니다 옥시 측은 이번 결정에 대해 최종 조정안이 합리적 지원금 기준과 공정한 분담 비율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애경은 별도 입장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조정위는 일단 두 기업을 더 설득하기로 했습니다 [안식/가습기살균제 조정위원회 사무국장 : "불수용한 기업들에 대해서 '다시 한번 재고를 요청드리고, 협의를 요청드리자 ' 마지막 노력을 조정위가 기울여보는 것으로 논의를 정리했습니다 "] 피해자 단체들도 개별 법적 소송이 어려운 만큼, 협상이 계속돼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송기진/'가습기살균제 합의를 위한 피해자 단체' 실무 대표 : "피해자와 가해 기업이 수용할만한 조정안이 나올 때까지 피해자들은 조정위원회가 존속되어져야 된다고 여겨집니다 "] 조정위원회는 다음 주 기자회견을 열고, 최종 조정안에 대한 양측 입장과 향후 위원회 거취를 밝힐 예정입니다 KBS 뉴스 이호준입니다 촬영기자:류재현/영상편집:서정혁/그래픽:채상우 [앵커] 그럼 계속해서 두 기업이 조정안을 거부한 이유는 뭔지, 앞으로 피해자 구제를 위한 대안은 없는 건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이호준 기자 나와 있습니다 이 기자, 두 기업이 부담해야 할 금액이 제일 큰데 그게 이유 일까요? [기자] 결국, 돈 문제입니다 먼저 옥시는 이미 피해자 4백여 명에 대한 개별 보상에, 특별법에 따른 구제기금 등으로 총 3,640억 원을 냈다는 겁니다 그런데 이번 조정안대로라면 5천억 원을 추가로 내야 하거든요 결국, 옥시 입장에서는 자신들만 과한 부담을 지운다는 속내가 담겨있습니다 애경은 거부 결정에 대해 언급을 피하고 있지만, 역시 가장 큰 이유는 막대한 돈 문제가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이렇게 기업들이 조정안을 거부하면, 앞으로 조정위원회가 제 역할을 할 수 있을까요? [기자] 쉽진 않습니다 원래 위원회 활동 시한은 지난달까지였습니다 조정위원회는 관련 기업과 피해자 단체가 합의해서 구성했고, 그동안 중재 역할을 해왔던 건데 ▣ KBS 기사 원문보기 :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 이메일 : kbs1234@kbs co kr #가습기살균제 #조정안 #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