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긴급사태 연장 후폭풍...검사 건수 논란 여전 / YTN

日 긴급사태 연장 후폭풍...검사 건수 논란 여전 / YTN

도쿄 등 경계지역 13곳 외 나머지 사회 활동 재개 방침 경제 타격 우려 절충안 제시…막대한 피해 현실화 할 듯 BNP 파리바 증권…"올 2분기 성장률 -33% 이를 것" [앵커] 아베 총리가 전국에 발령한 긴급사태를 이달 말까지 연장한 뒤 후폭풍이 거셉니다 경제적 충격 뿐 아니라 여전히 제자리 걸음인 검사 건수 등에 대해 구체적인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일본 연결합니다 이경아 특파원! 어제 아베 총리가 긴급사태 연장을 발표했는데요 대국민 기자회견 이후 반응이 어떻습니까? [기자] 네 긴급사태 연장은 어느 정도 예상됐던 것입니다 전국 신규 감염자 수가 감소 추세로 돌아서긴 했지만 그 속도가 느리다고 일본 정부 전문가회의가 지적한 바 있는데요 이런 상황을 감안할 때 오는 6일 긴급사태를 해제하기는 어렵다고 일본 정부가 판단한 겁니다 지역에 따라 감염 확산 정도에 차이가 큰 만큼 도쿄와 오사카 등 13개 경계지역은 현 수준을 유지하고, 나머지 지역은 일부 사회 활동을 재개하도록 절충안을 제시했습니다 긴급사태 연장 결정에서 가장 문제가 됐던 것이 경제에 미칠 타격이었기 때문에 절충안을 냈지만 막대한 피해는 현실화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아사히 신문은 BNP 파리바 증권 가와노 류타로 수석 경제분석가의 말을 인용해 긴급사태의 영향으로 올 2분기 GDP 성장률이 1분기 대비 마이너스 33%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에 앞서 다이이치생명 경제연구소에서는 긴급사태 2달 간 경제 손실이 우리 돈으로 515조 원이 이를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는데요 월세를 내지 못해 문을 닫는 자영업자들, 또 아르바이트가 끊겨 학교를 그만둬야 하는 학생들 사례까지 연일 일본 언론에 보도되고 있습니다 긴급사태에 따른 후폭풍, 특히 경제적 타격이 곳곳에서 현실화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앵커] 특히 논란이 이어져 온 코로나19 검사 문제, 어제 기자회견에서도 이렇다 할 대책은 제시하지 못했죠? [기자] 네 지난 달 6일 아베 총리는 긴급사태를 사상 처음으로 발령하면서 코로나19 검사 건수를 하루 2만 건으로 늘리겠다고 공언했습니다 하지만 한 달이 지난 지금도 하루 평균 7-8천 건에 머물고 있는 실정인데요 어제 기자회견 후 나온 첫 질문도 일본 정부가 전국적인 감염 실태를 과연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가였습니다 이에 대해 아베 총리는 검사가 정체돼 있는 것은 사실이라는 말만 했을 뿐 전문가에게 설명을 미루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일본 정부 전문가회의는 검사 건수가 늘지 않고 있는 것은 사스와 메르스 등의 감염병 확산 사태를 겪지 않아 검사 체제가 갖춰져 있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검체 채취와 운반 등을 담당하는 지역 보건소가 쇄도하는 상담 전화로 제대로 일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란 점도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하지만 긴급사태 한 달이 지나도록 이런 문제를 왜 해결하지 못했는지, 또 앞으로 어떻게 할 것 지에 대해서는 답변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전문가회의는 까다로운 검사 기준을 완화해 더 많은 사람이 검사를 받도록 해야한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현장에서 적용되기까지는 또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도쿄에서 YTN 이경압니다 ▶ 기사 원문 : ▶ 제보 안내 : 모바일앱, social@ytn co kr, #2424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