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일본 경제보복 조치 규탄 확산_티브로드서울

[출연]일본 경제보복 조치 규탄 확산_티브로드서울

[티브로드 이정윤기자] [기사내용] 리포트에서 보셨다시피 일본 경제 보복 조치에 대해 지자체들의 규탄 대회가 이어지고 있는데요 이와 관련해 취재기자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스튜디오에 이정윤 기자 나와 있습니다 앵커) 이 기자, 먼저 전국의 기초자치단체들이 협의체를 구성해서 공동 대응에 나섰는데요 얼마나 많은 지자체가 참여하고 있는 건가요? 기자) 네, 전국 시군구는 226곳인데요 지난달 30일이죠,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서 '일본 수출 규제 공동대응 지방정부연합’이 규탄 대회를 가졌습니다 당시 참여한 지자체는 52곳이었는데요 이들 지자체는 일본 수출 규제 조치를 규탄하면서 일본 제품 불매 운동과 일본 여행 자제 운동에 동참하기로 했습니다 또 구매하거나 임대해 사용하는 일본산 제품 거래도 전면 중단하기로 했는데요 30일 규탄대회 이후 공동대응에 동참하는 지자체는 계속 늘어 현재까지 전국 시군구의 66% 해당하는 150곳이 동참하고 있습니다 앵커)규탄 대회뿐만 아니라 일본산 사무용품을 퇴출시키거나 일본 규탄 배너기를 설치하는 등 퍼포먼스도 많았는데요? 기자) 네, 서대문구는 일본산 사무용품을 사용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타임캡슐에 사무용품을 담아 봉인하는 퍼포먼스를 벌였는데요 구청사에서 사용하던 모든 일본산 사무용품들을 수거해서 상자에 담은 겁니다 일본이 경제 보복 조치를 철회할 때까지 이 타임캡슐을 구청사 로비에 놓기로 했고요 중구는 'no japan’ 이라고 적힌 배너기를 설치하는 퍼포먼스를 벌였는데요 불매 운동에 동참하는 의미로 배너 1천100개를 제작해서 주요 도로에 설치할 계획이었습니다 하지만 논란이 커지면서 서양호 중구청장은 배너기를 설치한 당일 오후에 SNS를 통해 배너기를 철거하겠다는 뜻을 밝혔는데요 사실 중구가 배너기를 설치한다는 내용의 보도자료가 나온 이후 구청 홈페이지 등에 많은 민원글이 올라왔는데요 서양호 중구청장은 페이스북에 "관군, 의병 따질 상황이 아니다 왜 구청은 나서면 안되나요? 우선 전쟁을 이기는데 집중해야 합니다”라는 입장문을 썼다가 반발이 워낙 거세 이를 삭제하기도 했습니다 또 논란이 확산되자 박원순 서울시장도 서 구청장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시민들의 의견을 수용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제시했는데요 결국 배너기를 설치한 지 다섯 시간 만에 다시 철거하는 웃지 못 할 해프닝이 벌어졌습니다 앵커) 배너기를 설치한 지 몇 시간도 되지 않아 철거하기로 결정한 건데요 그 만큼 논란이 컸어요 어떤 이유에선가요? 기자) 네, 사실 앞에서도 말씀 드렸다시피 많은 지자체가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에 반발하면서 규탄 대회를 열고, 불매 운동에 동참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배너기를 설치한 건 중구가 처음인데요 민간 운동에 지자체가 동참하는 건 좋지만 구가 직접 나서서 불매 운동을 조장하는 것 아니냐 이런 비판의 목소리가 많았습니다 또 배너기에 적힌 문구도 문제가 됐는데요 'no 아베'가 아닌 ’no japan’ 이라고 적었는데, 일본 국민들에게 불필요한 오해를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 겁니다 특히 중구는 명동과 남대문 등 서울에서도 외국인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곳이기 때문에 더 많은 비난을 받았습니다 앵커) 말씀하신 것처럼 일본 불매 운동 동참도 좋지만 이런 분위기 때문에 관광 업계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인데요 서울시가 대책을 내놨다고요? 기자) 네, 국내에서 일본여행 불매 운동이 벌어지면서 한국을 찾는 일본 관광객 감소 역시 우려되고 있는데요 올 1월부터 6월까지 한국을 찾은 일본 관광객 수는 165만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와 비교해보면 26% 증가한 수치인데요 앞으로가 문제인데요 9월 이후에는 관광객 수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 서울시가 피해를 줄이기 위해 관광 활성화 대책을 세웠습니다 일단 일본 대신 중국 관광시장을 집중적으로 공략한다는 계획이고요 관광 시장을 다변화하기 위해 베트남과 말레이시아 등 신흥 시장을 타겟으로 글로벌 마케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또 관광객 감소로 피해를 입는 자영업자를 위해 특별 금융 지원 사업도 추진하는데요 영세한 관광사업자는 담보 없이 5천만 원 한도 내에서 특별보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네, 이정윤 기자 수고했습니다 제보 : snews@tbroad 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