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달인] 김치의 재발견…"비만·아토피·파킨슨병 억제 효과 탁월" / YTN 사이언스

[과학의 달인] 김치의 재발견…"비만·아토피·파킨슨병 억제 효과 탁월" / YTN 사이언스

■ 최학종 / 세계김치연구소 책임연구원 [앵커] 코로나19가 세계적으로 확산하면서 면역력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증가하고 있는데요 우리나라 대표 발효식품인 '김치' 역시 면역력 증진에 효과가 있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오늘 (과학의 달인)에서는 김치 속 유산균의 효능을 알아보겠습니다 세계김치연구소 최학종 책임연구원과 함께합니다 어서 오세요 네, 우리나라 사람들 정말 김치 없이는 살 수 없습니다 오죽하면 "김치 없이 못 살아 정말 못 살아!" 이런 노래가 있을 정돈데요 김치송 혹시 들어보셨나요? [인터뷰] 네, 잘 알고 있죠 제가 세계 김치연구소에 다니다 보니까요 저 역시 김치 없으면 살 수 없습니다 [앵커] 네, 저희 모두 김치 없으면 살 수 없는 한국사람인 것 같은데 박사님이 나오신다는 이야기를 듣고 사실 조금 전부터 황보혜경 앵커가 연습했는데 기대에 못 미치는 것 같습니다 세계김치연구소, 세계를 통틀어서 정말 하나밖에 없는 유일무이한 기관인데요 생소한 분들도 많이 있을 것 같습니다 이곳이 어떤 곳인지 간략하게 소개부터 부탁하겠습니다 [인터뷰] 저희는 김치 세계화를 위해서 2010년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부출연연구소로 설립되었습니다 김치에 관한 모든 연구를 한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김치의 맛이나 품질, 포장, 위생, 그리고 김치가 몸에 좋다는 것, 그리고 김치가 수출을 많이 해야 하거든요 그래서 저희가 수출지원 등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앵커] 사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카레 먹을 때도 김치를 얹어 먹고, 고구마를 먹을 때도 김치랑 먹고, 돈가스와 같은 느끼한 거 먹을 때도 김치를 찾게 되는데 그만큼 김치 없이는 못 사는 민족인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 대체 한 해에 얼마나 많은 김치를 먹나요? [인터뷰] 성인 기준으로 한국인은 매일 약 70g의 김치를 섭취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365를 곱하면 대략 일 년에 25kg의 김치를 섭취하는 것이지요 [앵커] 1년에 25kg이요? 생각보다 김치를 정말 많이 섭취하고 있는데 박사님께서는 김치에 사는 유산균에 대해서 조사를 하고 계신다고 들었습니다 우선 유산균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설명해주시겠어요? [인터뷰] 김치는 대표적인 젖산발효 식품입니다 김치를 담그면 유산균이 생기면서 김치가 발효됩니다 그리고 김치에는 1~2종류의 유산균이 아닌 매우 다양한 유산균이 살고 있습니다 유산균은 김치 안에 존재하는 유리당을 먹고 젖산을 만들어내는데요 이때 생기는 젖산이 각종 유해한 병원균의 성장을 막아 우리가 건강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김치에 사는 특정 유산균 중에는 특별한 능력을 갖춘 것들이 있는데요 세계김치연구소에서는 이런 유산균의 효능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그런데 실제로도 김치 속에 유산균이 정말 많다고 하셨는데 몸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사진으로 준비하셨다고요? [인터뷰] 네, 보시죠 [앵커] 네, 지금 쥐 두 마리가 있는 사진입니다 검은색 쥐 두 마린데 오른쪽 쥐가 좀 더 마른 느낌이 들어요 [인터뷰] 네, 맞습니다 우리 연구소에서 태어난 지 4주 된 어린 쥐 두 마리를 함께 키웠는데요 두 마리 모두 지방이 듬뿍 든 고열량 사료를 먹였습니다 그중 오른쪽 쥐에게만 김치 유산균을 10억 마리씩 먹였어요 고열량 사료 덕에 두 마리 모두 살이 쪘지만, 유산균을 먹은 쥐와 먹지 않은 쥐의 몸매는 크게 달랐습니다 체중 12%, 체지방량은 9% 정도 함량이 감소한 건데요 사람으로 치면 먹는 음식도, 활동량도 유사한데 3개월 만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