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구제역 확산 원인과 대응 방안은? / YTN 사이언스](https://poortechguy.com/image/UF9J5k-lMxM.webp)
AI·구제역 확산 원인과 대응 방안은? / YTN 사이언스
[앵커] 그렇다면 AI와 구제역이 다시 확산되고있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나아가 더 큰 피해로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어떤 대책이 필요할까요? 이번에는 전문가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충남대학교 수의학과 서상희 교수, 전화로 연결돼 있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조류 인플루엔자에 이어 구제역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는데요 이렇게 가축 전염병이 다시 발생하게된 원인, 무엇때문이라고 보십니까? [앵커] 우리나라에서 구제역은 주로 겨울이나 봄에 발생했다가 여름에 사라졌었는데요 최근에는 AI와 구제역 등 가축 전염병이 계절에 상관없이 발생하고 있지 않습니까? 이렇게 되면 2011년에 발생했던 구제역 재앙과 같은 최악의 사태가 되풀이되진 않을까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데요 어떻게 보고 계시나요? [앵커] 우리나라에서 작년 초에 개가 AI에 감염되는 사례가 발생했었는데요 이처럼 이종 간에 전염되는 것이 가능하다면, 확산속도가 보다 빨라지거나 변종 바이러스가 발생할 가능성, 더 커지는게 아닐까요? [앵커] 가축 질병이 토착화되고 있다면 국내 환경에 맞는 예방 백신이 새롭게 개발될 필요가 있어서 보이는데요 이 부분에 대한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앵커] 자, 끝으로 국내방역을 강화해서 더 큰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막으려면, 어떤 지원과 대책이 필요할까요? [앵커] 지금까지 충남대학교 수의학과 서상희 교수와 함께 이야기 나눠봤습니다 교수님,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앵커] AI를 비롯해서 구제역까지, 대한민국이 계속 몸살을 앓고 있어서 걱정이네요 대책과 지원 방안이 수없이 쏟아지고 있습니다만, 일선 농가와 방역당국 관계자 여러분께서 조금 더 심혈을 기울여주셔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앵커] 지난해 제가 강원도의 방역 관계자를 한번 뵌 적이 있는데, 정말 고생이 많으시더라고요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사명감을 갖고 방역에 힘써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YTN 사이언스 기사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