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권 침해, 학부모 폭행·협박 늘고 명예훼손 줄었다" [굿모닝 MBN]](https://poortechguy.com/image/VKAc0H5qk4w.webp)
"교권 침해, 학부모 폭행·협박 늘고 명예훼손 줄었다" [굿모닝 MBN]
【 앵커멘트 】 서이초 교사 사망 사건 이후 전국 교사들이 오는 9월 4일까지 추모 집회를 이어갈 방침인 가운데, 이들의 현실이 반영된 교육부 자료도 나왔습니다 최근 극단적 선택을 한 공립학교 교사 100명 가운데 초등교사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학부모의 폭행 협박에 시달리는 교사도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오지예 기자입니다 【 기자 】 광화문 거리에서 열린, 숨진 초등학교 교사의 두 번째 추모 집회 1년 전 학생 간 다툼을 제지하다 아동학대로 신고 당한 뒤, 최근에서야 무혐의를 받았다는 한 교사가 경험담을 공유합니다 ▶ 인터뷰 : A 초등교사 - "밤낮 가리지 않고 폭언을 해대는 목소리, 교장실을 쫓아가 교사의 자질을 운운하며 담임 교체를 요구하던 언행들이 환각과 환청이 되어 급기야 자살 시도를 하기에 이르렀습니다 " 공교롭게 이런 실태를 보여주는 자료도 공개됐습니다 최근 5년 6개월 동안 공립학교 교사 100명이 극단 선택으로 숨졌고,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초등학교 교사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사망 원인은 원인 불명이 70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와 함께 최근 3년간 학부모의 교권 침해 형태도 달라졌습니다 학부모로 인한 상해·폭행 비중은 3 5%에서 6 9%, 지속적이고 부당한 간섭은 18 5%에서 22 3%로 늘어났습니다 반면 같은 기간 모욕·명예훼손이 차지하는 비율은 49 3%에서 37 1%로 줄어들었습니다 교육당국은 교사를 상대로 물리적 위해와 지속적인 괴롭힘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교권 보호 대책에 속도를 낼 방침입니다 MBN뉴스 오지예입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상담 전화 ☎1393, 정신건강상담 전화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청소년 모바일 상담 '다 들어줄 개' 어플, 카카오톡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 MBN 유튜브 구독하기 ☞ 📢 MBN 유튜브 커뮤니티 MBN 페이스북 MBN 인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