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익공유 압박에 은행권 반발…"여유 많지 않다" / 연합뉴스TV (YonhapnewsTV)](https://poortechguy.com/image/W4iBBnwIFWY.webp)
이익공유 압박에 은행권 반발…"여유 많지 않다" / 연합뉴스TV (YonhapnewsTV)
이익공유 압박에 은행권 반발…"여유 많지 않다" [앵커] 정치권에서 코로나 피해 지원을 이유로 이익공유나 연대기금을 거론하면서 돈 낼 곳으로 은행권을 지목하고 있죠 코로나 불황에도 돈 잘 벌지 않았느냐는 이유에선데, 은행권이 그렇지 않다며 불편한 심경을 공개 토로했습니다 조성미 기자입니다 [기자] 국회에서 논의 중인 상생연대 3법의 골자는 코로나19 피해 층을 수혜 업종들이 기부나 이익공유로 돕는다는 것입니다 이익을 내놓을 주체로는 은행권이 자주 거론됩니다 코로나 불황이 덮친 작년 대출은 더 늘고 이자도 꼬박꼬박 받지 않았느냐는 명분에서입니다 은행들이 외환위기 때 공적 자금을 수혈받았으니 이젠 기여할 때란 지적도 나옵니다 정치권의 움직임에 숨죽이던 은행들이 마침내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지속적 자본 공급을 위해 이자 이익은 비축해둬야 할 돈이지, 그때그때 써버려서는 안 되는 돈이란 겁니다 [김광수 / 은행연합회장] "신용 창출 기능을 주된 업무로 하는 은행의 성장과 우리 경제의 성장은 불가분의 관계입니다 은행이 적정한 이익을 내야만 실물경제에 원활한 자금 공급을…" 수익성 악화 문제도 내세웠습니다 자본금 대비 순익 비율인 자기자본이익률이 8%는 돼야 안정적 자금 공급이 가능한데, 재작년 6 7%던 이 비율은 작년 5%대까지 떨어졌다는 겁니다 전문가들은 은행이 공공기관이 아니란 주주가 있는 기업인 점도 감안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 [강경훈 /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 "공공성이 있기 때문에 완전히 나 몰라라 할 순 없지만, 과도하게 부담을 지우는 것은 경제원리에 맞지 않는다 " 자산시장 급변동 우려가 한층 커지는 상황에서 코로나 사태 뒤 드러날 부실자산이 또 다른 위기를 유발하지 않게 부담이 적정선을 넘지 않아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연합뉴스TV 조성미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 연합뉴스TV 유튜브 채널 구독 ▣ 대한민국 뉴스의 시작 연합뉴스TV / Yonhap New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