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블랙리스트' 다음 주 본격 소환 가능성...교육부도 종용진술 / YTN

'산업부 블랙리스트' 다음 주 본격 소환 가능성...교육부도 종용진술 / YTN

[앵커] '산업부 블랙리스트' 의혹을 수사하는 검찰이 압수물을 분석하며 핵심 물증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가운데 이르면 다음 주부터 본격 소환조사가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YTN 취재진은 환경부와 산업부에 이어 교육부에서도 지난 2017년 문재인 정부 초기 산하기관장들에 대한 사퇴 종용이 있었다는 정황을 확인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이준엽 기자! [기자] 네, 서울동부지검입니다 [앵커] 오늘 검찰 수사 상황부터 전해주시죠 [기자] 네 검찰은 고발 3년여 만에 산업부와 8개 산하기관까지 모두 9곳에서 대대적인 압수수색을 벌인 뒤 압수물 분석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습니다 분석을 마치는 대로 이르면 다음 주부터 관계자들에 대한 소환조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앞서 압수물 포렌식 과정에서 검찰이 확인해야 할 내용이 있으면 인사 담당자들을 먼저 불러 관련 자료를 확인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검찰은 우선 고발장에 적시된 기관장 사퇴 종용 의혹부터 살펴보고 있지만, 사퇴 이후 후임자 선정 과정에 대해서도 문제가 없는지 들여다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앵커] 지금까지 검찰 수사가 진행된 블랙리스트 의혹은 환경부와 산업부에 대한 건데, 교육부에서도 비슷한 정황이 확인됐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앞서 지난 2019년 자유한국당이 환경부와 산업부뿐만 아니라 교육부와 통일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무총리실 등에 대해서도 같은 의혹을 제기했는데요 문재인 정부 초기 각 산하기관 임원에 대한 조직적인 사퇴 요구가 잇따랐다는 겁니다 서울동부지검은 교육부와 과기부 등 고발 사건도 맡고 있는데요 저희 YTN 취재진이 당시 사표를 낸 한 교육부 산하기관장 A 씨와 통화가 닿았습니다 A 씨는 자신이 재임 중이던 지난 2017년 7월 교육부 담당 국장이 찾아와 사퇴를 요구했다고 말했습니다 A 씨는 자신을 찾아온 국장에게 "전임들은 모두 임기를 채웠다"며 거부 의사를 내비치기도 했다는데요 또 국장이 가만히 앉아 자신의 얼굴을 빤히 쳐다보면서 상당히 불편한 분위기가 연출되기도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후 국장은 한 차례 더 찾아왔고 직접 "사표를 가져가겠다"고 재촉했다는 게 A 씨의 설명입니다 결국, A 씨는 임기를 1년 남겨두고 '일신상의 이유'라는 명목으로 사퇴했습니다 [앵커] 사표를 빨리 받으려고 찾아가려고 했다면 윗선 지시가 있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당시 담당 국장의 입장은 어떻습니까? [기자] 네, 당시 A 씨가 속한 산하기관을 담당하는 교육부 국장은 모든 의혹을 부인했습니다 자신이 A 씨가 재임 중이던 기관을 담당하는 부서 국장이었던 것은 맞지만 사표를 종용하지 않았고, 찾아간 적도 없다는 겁니다 특히 제대로 인사를 나눈 적도 한 차례밖에 없다며 모르는 사실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 교육부도 당시 사정을 알만한 직원들은 모두 인사 발령으로 흩어졌다며 정확한 사실관계를 확인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서울동부지검은 산업부 블랙리스트 사건 수사를 마친 뒤 교육부 등 다른 부처 의혹에 대해서도 수사 범위를 확대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서울동부지검에서 YTN 이준엽입니다 YTN 이준엽 (leejy@ytn co 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 co kr ▶ 기사 원문 : ▶ 제보 하기 : ▣ YTN 유튜브 채널 구독 : ⓒ YTN & YTN plus 무단 전재 및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