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쏙! 쏙!] 전북 광역권 ‘홀로서기’…전북 발전에 미치는 영향은? / KBS  2025.02.05.

[뉴스 쏙! 쏙!] 전북 광역권 ‘홀로서기’…전북 발전에 미치는 영향은? / KBS 2025.02.05.

[앵커] 뉴스 쏙!쏙! 시간입니다 국토교통부가 수정하려는 ‘제5차 국토종합계획’에 전북과 강원, 제주 등 특별 자치권역 또한 별도 권역으로 담겨야 한다는 요구가 컸는데요, 국토교통부가 최근, 수정 작업을 통해 의미 있는 변화가 생겼습니다 전북만 광역권으로 따로 분류하는 것으로 방침을 정했는데요, 오늘 이 시간엔 ‘전북 광역권’에 대해 자세히 알아봅니다 [리포트] 국토교통부가 광역시를 중심으로 한 초광역 메가시티 조성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제5차 국토종합계획 수정작업을 진행하면서 새로운 계획을 내놓았습니다 애초 충청권과 광주·전남권, 대구·경북권, 부산·울산·경남권 등 4대 권역을 중심으로 한 초광역 메가시티 조성계획안을 수정해 전북과 강원·제주 등 특별 자치권역을 별도 권역으로 구분해달라는 해당 자치단체의 요구를 일부 받아들이는 의미 있는 변화가 생겼습니다 두 해 전 지방시대위원회가 내놓은 4+3 ‘초광역권 발전계획’과 발을 맞춘 겁니다 지방시대위원회의 이 계획은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을 충청, 광주·전남, 대구·경북, 부울경 권 등 4대 초광역권과 강원·전북·제주를 3대 특별자치권으로 나눠 맞춤형 분권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건데요, 이에 더해 국토교통부가 전북만 별도로 광역권으로 분리하는 방안을 내놓으면서 독자적인 경제생활권을 꾸리게 된 전북 광역권 발전의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는 지역 주도의 8대 권역별 경제·생활권을 키워 인구가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것을 막고 국토 균형발전으로 경쟁력 있는 지방시대를 열겠다는 계획인데요, 그렇다면 강원과 제주, 전북특별자치도 가운데 전북만 광역권으로 분리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를 던져주고 있을까요? [앵커] 광역시가 없는 전북은 전국적으로 초광역권 조성 논의에서 배제돼 소외 우려를 안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국토교통부가 전북을 광역권으로 분류하겠다는 권고안을 내놓아, 의미와 배경에 관심이 큽니다 박웅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국토교통부는 현재 제5차 국토종합계획의 수정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방소멸 등 시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토 공간 전략을 다시 짜는 겁니다 수도권과 광역시 위주의 5대 초광역권, 그리고 전북을 비롯해 강원, 제주 3대 특별자치권 조성이 핵심입니다 이웃 지역인 광주 전남권과 충청권에서 수년 전부터 이른바 '메가시티' 논의가 이뤄지면서 광역시가 없는 전북은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가 이어져 왔습니다 3대 특별권의 위축 문제가 제기되자, 국토교통부가 전북을 광역권으로 따로 분류해 수정안에 반영하기로 했습니다 5대 초광역권과 강원, 제주 특별권은 그대로이지만, 전북만 독자적 광역권으로 조정하기로 한 겁니다 국토교통부는 전북에 전주와 군산, 익산 등 거점이 될만한 도시들이 있어 다른 특별자치권과 차별점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새만금 내부 개발도 속도를 내고 있어 이와 연계한 광역권으로 조성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이현서/전북특별자치도 정책기획관 : "저희가 초광역권과 대등한 수준의 어떤 행정적인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라는 쪽은 계속 건의해왔습니다 중점적인 도시를 중심으로 해서 독자적인 광역생활권을 만들 수 있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 광주·전남에서 벗어나 독자적 권역으로 출범한 전북특별자치도, 이번 광역권 방침이, 영남과 충청 등지의 메가시티 추진과 맞물려 전북 몫을 찾는 데 어떤 변수가 될지 궁금합니다 KBS 뉴스 박웅입니다 촬영기자:이주노 [앵커] 국토교통부가 전북을 독자적으로 광역권으로 분류하는 안을 제시했는데, 전북 발전에 어떤 영향이 있을지, 전북은 어떤 준비를 하고 있는지, 자세히 짚어봅니다 전북자치도 최병관 행정부지사, 자리 함께했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한때 전북은 광역철도와 고속도로, 초광역권 사업 등 국토부의 주요 사업에서 모두 빠지면서 소외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최근 국토부의 전북 광역권 분류 방침은 반가울 수밖에 없는데요, 어떤 의미가 있다고 보세요? [앵커] 앞서 보셨듯이 국토부가 이번에 전북을 광역권으로 설정한 배경에는 전북에 전주와 군산, 익산 등 거점이 될 만한 도시들이 있고 새만금 개발도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되는데요, 전북 광역권의 주요 내용은 무엇이라고 봐야 할까요? 또, 도로나 철도, 각종 SOC 사업 등에 어떤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앵커] 그렇다면, 국토종합개발계획 확정은 언제 되는 건가요, 전북의 뜻대로 전북만의 광역권으로 개발이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시는지요? [앵커] 이제 전북 주도로 광역권 발전 계획을 차근차근 세워나가야 할 텐데요, 독자적인 전북 광역권 발전 어떤 밑그림을 그리고 계십니까? [앵커] 네, 오늘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나와주셔서 감사합니다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전북광역권 #초광역권 #광역권발전계획 #국토종합개발계획 #전북 #전북특별자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