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관TV:전남 목포문학관] 시대의 지식인이자 문인 "김우진"의 삶과 문학](https://poortechguy.com/image/Wqc6fyFK4us.webp)
[문학관TV:전남 목포문학관] 시대의 지식인이자 문인 "김우진"의 삶과 문학
[ 시대의 지식인이자 문인 "김우진"의 삶과 문학 ] 김우진은 전남 장성에서 당시 군수였던 김성규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907년 목포시 북교동 46번지로 이주하여 목포공립보통학교(현 북교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일본 구마모토 농업학교를 거쳐 1924년 와세다 대학 영문과를 졸업했습니다 대학을 졸업하고 목포로 귀향하여 영농사업체 사장으로 일하면서 시 50편, 희곡 5편, 소설 3편, 문학평론 20편을 남겼습니다 시대의 지식인이자 문인, 김우진을 소개합니다 - 김우진 연보 김우진은 전남 장성에서 출생했고 11살 때 당시 무안감리로 발령받은 아버지를 따라 목포로 이주합니다 목포 북교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일본 구마모토(熊本) 농업학교를 거쳐 1924년 와세다대학 영문과를 졸업했습니다 대학 졸업 후 목포로 귀향하여 영농사업체인 상성합명회사 사장으로 일하면서 시 50편, 희곡 5편, 소설 3편, 문학평론 20편을 남겼습니다 그러나 가정·사회·애정문제로 번민하다가 1926년 8월 ‘사의 찬미’로 유명한 소프라노 가수 윤심덕과 현해탄에 투신했습니다 - 김우진의 생애와 문학 김우진은 한국 연극사에서 최초로 서구 근대극을 연구하고 영향을 받은 작가로 「이영녀」, 「산돼지」 등 본격적인 근대극을 썼습니다 김우진은 목포 최초의 문학동인지인 소시에티 메이(오월회)를 발간하였으며 지역 문인들의 활발한 창작활동을 독려하였습니다 김우진이 동경유학시절 기록한 ‘마음의 자취’라고 쓴 일기, 구마모토 농업학교 시절에 기록한 농장일지입니다 - 김우진의 평론 김우진은 문학 평론과 연극 평론 17편을 남겼습니다 연극평론에서는 서구의 근대극을 국내에 소개하고 문학평론에서는 「조선말 없는 조선문단에 일언」, 「이광수류의 문학을 매장하라」 등 당시 기성 문단에 일침을 가하기도 했습니다 - 김우진과 김성규 김우진의 부친 김성규는 25세에 광무국 주사 근무부터 5개국 대사관 서기관 등 여러 관직을 거쳤습니다 무안항 감리 시절 목포 부두 노동자들의 파업을 조사할 때도 일본인의 눈치를 보지 않고 조선인을 옹호했습니다 김우진과 많은 갈등이 있었지만 김우진은 아버지를 무척 존경했다고 합니다 김우진은 50편의 시를 남겼는데 「아버지께」라는 시의 친필 원고입니다 1920년대 당시 한글 맞춤법을 볼 수 있습니다 -------------------------------------------- [ 사단법인 한국문학관협회 ] 공식 홈페이지 : 공식 블로그 : 84개 문학관이 가입되어 있는 사단법인 한국문학관협회는 문학관 운영 활성화 및 지역 주민의 문학 향수 기회를 넓히고, 프로그램 상호 공유를 통한 우수 문학 프로그램 개발, 문학관 운영 인력 양성, 문학관 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 및 홈페이지 개설을 통한 전국 문학관 홍보 및 협력 네트워크 운영을 목적으로 지난 2004년 04월 설립 되었습니다 현재는 법인화를 통해 국민과 회원문학관을 위한 공익적 사업을 확대하고 한국문학의 진흥과 문학 유산의 보존 ,전시 ,교육, 홍보를 지원하는 단체로 성장 있으며 나아가 지역민과 일반시민 청소년의 정서함양에 도움이 되는 지역문학관을 지원하는 비영리 사단법인 입니다 [ 협회사업 ] 1 문학관운영을 위한 지원사업 - 회원문학관의 홈페이지 운영 및 보완을 위한 지원 사업 - 전시 자료, 문인유물전시, 보존 시설, 수장고 확충을 위한 지원 사업 - 지역문학관 특성화 프로그램 지원 사업 주관 (2018~) - 문학관 상주작가 지원 사업 주관 (2019~) 2 지역주민의 문학 향수 기회 확대 - 사단법인 한국문학관협회 주관의 행사기획 - 각 문학관 별 프로그램 지원사업 시행 3 우수프로그램 상호교류 - 국내 문학관 탐방 사업 실시 - 해외 선진 문학관 및 문학 시설 관련 연수 사업 실시 4 문학관 운영 인력 양성을 위한 워크숍 개최 - 문학관 실무자를 위한 사업설명회 및 워크숍 개최 (연 2회 이상) - 문학관 업무 실무자 운영 능력 향상을 위한 위탁교육 5 문학관 소개 자료 및 홍보물 제작 - 회원 문학관 홍보를 위한 홍보책자 및 자료집 발간 - 문학관 TV를 통한 SNS홍보 강화 및 정보 공유전달 6 문학관 건립을 위한 지원 사업 - 설립 준비 및 과정 자문 및 관계 당국 담당자 공유 - 설립 후 운영 활성화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