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평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슬기 교수 일찍 시작된 사춘기, 성조숙증의 증상인가요 카드뉴스](https://poortechguy.com/image/WuyY1mEUcYw.webp)
은평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슬기 교수 일찍 시작된 사춘기, 성조숙증의 증상인가요 카드뉴스
일찍 시작된 사춘기, 성조숙증의 증상인가요? 성조숙증이란? 성조숙증은 사춘기가 일반 아이들보다 빨리 시작되는 걸 말합니다 사춘기에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여러 변화가 나타나게 되는데 신체적인 측면에서의 사춘기는 2차 성징이 나타나면서 시작됩니다 남아에게 만 9세 이전, 여아에게 만 8세 이전에 2차 성징이 나타나게 되면 이를 성조숙증이라고 합니다 성조숙증, 꼭 치료해야 하나요? 사춘기가 빨리 시작되면, 처음에는 잘 크는 것 같지만 골연령이 빨라져 정상적으로 사춘기가 시작되는 아이들에 비해 오히려 최종 성인 키가 작아질 수 있습니다 이렇게 일찍 발생한 사춘기는 사회 심리적인 문제나 아이들의 행동문제, 그리고 학업 성취도의 저하까지도 불러올 수 있습니다 또한 중추신경계 종양이나 난소의 종양과 같이 조기 발견이 중요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성조숙증은 왜 발생하나요? 여아의 경우 80~85%가 원인 질환 없이 발생하는 특발성 성조숙증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남아에게는 성조숙증 환자의 50%에서 원인 질환이 발견됩니다 뇌종양, 선천성 뇌 기형, 수두증, 뇌염 및 뇌농양, 갑상샘저하증, 난소 및 고환이나 부신의 질환, 성호르몬이나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약물 등이 성조숙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뇌종양 ○선천성 뇌 기형 ○수두증 ○뇌염 및 뇌농양 ○갑상샘저하증 ○부신의 질환 ○성호르몬 및 스테로이드 약물 특정 식품으로 인해 성조숙증이 발생하기도 하나요? 특정 식품, 특히 콩류 식물에 여성호르몬과 유사한 식물성 에스트로겐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물질이 성조숙증을 일으키는데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지는 않습니다 여러 가지 환경호르몬이 사춘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가능성도 이야기되고 있지만, 이 역시 아직은 인과관계가 확실히 규명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식이요법으로 성조숙증을 예방할 수는 없으며, 특정 식품에 대한 절제는 오히려 성장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비만이 심한 어린이들이 사춘기 진행이 빠른 경향성을 보이나, 비만인 어린이가 모두 사춘기가 빠른 것은 아니며, 비만이 아닌 어린이에게서 성조숙증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성조숙증은 어떻게 진단할 수 있나요? 성조숙증의 진단은 2차 성징이 나타난 시기, 진행속도, 원인 질환, 성호르몬 노출 유무 등을 확인하고, 신체 진찰로 신체 성장과 성성숙의 진행 정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이뤄집니다 방사선 촬영으로 골연령을 측정하고, 호르몬 검사를 진행합니다 상황에 따라 뇌 자기공명촬영이나, 복부, 골반, 고환 초음파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첫 검사 시에는 치료가 필요한 단계가 아니었다 하더라도, 수개월 만에 치료가 필요한 단계로 진행될 수 있어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성조숙증의 치료법은 무엇인가요? 성조숙증의 원인이 밝혀졌다면 그 원인에 대한 치료를 하는 것이 가장 우선입니다 특별한 원인 질환 없이 발생한 특발성 성조숙증의 경우에는 사춘기 진행을 억제하는 약제를 투여합니다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효능제는 성호르몬 억제제로 3~4주 간격 혹은 12주 간격으로 병원을 방문하여 주사로 맞게 됩니다 불규칙적으로 치료를 받는 경우에는 오히려 사춘기 발현을 자극할 수 있어 꾸준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치료 기간은 어느정도인가요? 치료 기간은 진단받았을 때의 역연령과 진행된 골연령 정도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통상 2~5년 정도입니다 치료의 종료 시점은 대개 여아의 경우에는 골연령 12세 전후, 남아는 골연령 13세 전후이지만, 개인에 따라 여러 가지 변수를 고려하여 결정하게 됩니다 감수_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슬기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