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마주서다] 우리가 잊어선 안될 역사, 그들의 기억과 마주하다 4부 - 시월, 봉인된 시간 | KBS대구 181002

[기억, 마주서다] 우리가 잊어선 안될 역사, 그들의 기억과 마주하다 4부 - 시월, 봉인된 시간 | KBS대구 181002

기억, 마주서다 4부 [시월, 봉인된 시간] 181002 방송 ▣ 1946년 시월, 잊혀진 대구 해방 후 이듬해인 1946년 대구는 심각한 식량난과 콜레라가 겹치고 미군정이 친일관리를 고용, 쌀 강제수집과 식량공출을 강압적으로 시행하는 것에 맞서 굶주린 시민들의 시위가 수시로 벌어졌다 그해 9월 말부터 쌀 배급과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노동자의 총파업이 일어났고, 10월 1일 저녁 대구역 인근 태평로(구 삼국상회) 앞에 약 500여 명의 노동자와 100여 명의 무장경찰대가 대치하던 중 경찰의 발포로 노동자가 숨지는 사태가 발생했다 2일, 시민의 분노는 극에 달하기 시작했지만 미군정의 계엄령 선포로 대구에서의 항쟁은 진압되었으나 항쟁은 빠른 속도로 전국에 확산됐다 12월 중순에는 전국 73개 시·군으로 확대되었고 대구·경북 77만 명, 전국 230만 명이 참여한 대규모 항쟁이었다 그러나 제주 4·3사건이나 여순 항쟁에 비해 조명 받지 못한 1946년 10월의 대구 72년 전 당시 사건의 관련자와 목격자는 모두 고령으로 그들의 기억은 천천히 사라지고 있다 이들의 증언을 확보하는 작업은 시급하다 ▣ 아버지 이름도 부르지 못하고 숨죽인 72년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석우 채충식의 손녀딸인 채영희 씨의 아버지는 할아버지에 이어 10월 항쟁에 참여하다 강제로 국민보도연맹에 가입돼 대구형무소에 수감된다 당시 어머니와 면회하러 갔지만, 아버지에 대한 기억은 흐릿하기만 하다 10월만 되면 먹먹해진다는 채영희 씨, 10월 항쟁 유족회장이 되어 아버지의 발자취를 따라가 보니 당시 가창골(현 가창댐)로 끌려가 처형당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1946년 10월 경북도청공무원이자 대구상고(현 대구 상원고) 학생이었던 강창덕 씨 그날 도청 건물 2층에서 근무를 하다 시위대가 구호를 외치며 지나가는 모습을 직접 목격하게 되었는데 당시 경찰의 발포로 공분을 느껴 교복으로 갈아입고 학생의 신분으로 시위에 참여했다 그 후 세상에 눈을 크게 뜨게 되고 진보적 학생운동단체에 가입하여 민주화운동과 분단반대운동도 전개하였다 ▣ 소설가 현기영, 감춰진 현대사의 아픔을 되살려내다 1948년 제주 전역에 걸쳐 벌어진 가슴 아픈 참상, 4·3사건 이 중 400여 명의 주민이 학살되어 당시 가장 큰 희생자 수를 기록한 북촌 사건을 배경으로 소설을 써 제주 4·3사건을 세상에 알린 현기영 소설가 그는 대구의 10월 항쟁 가담자들이 한국전쟁 전후 군과 경찰에 의해 희생됐다는 가슴 아픈 사연과 마주 서게 되는데 민간인 희생자는 대구·경북에만 수만 명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민족 수난기 역사의 내부를 치밀하게 글로 써내려간 그는 국가에 의해 희생된 유족들의 세상을 향한 목소리를 글로 풀어내는 작업을 다시 시작한다 #kbs #kbs대구 #대구 #역사 #다큐멘터리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