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26 내변산(남여치매표소_월명암_직소폭포_재백이고개_관음봉_세봉_세봉삼거리_내소사, 13km)

20221126 내변산(남여치매표소_월명암_직소폭포_재백이고개_관음봉_세봉_세봉삼거리_내소사, 13km)

전북 부안의 변산반도국립공원 조선8경 또는 호남의 5대명산으로 불리우는 내변산을 다녀옵니다 채석강과 더불어 변산 8경중 으뜸으로 치는 직소폭포가 있고 전나무숲길의 천년고찰 내소사가 유명한 곳입니다 하늘에 구름이 없는 맑은 날이었으나 미세먼지가 끼어서 먼 조망은 선명하지 않습니다 시원한 산바람이 불어 좋았던 6시간 동안 즐긴 13km의 행복한 산행이었습니다 가을 가뭄이 길어 계곡의 수량이 많지는 않았지만 구색을 갖출 만큼의 양으로는 충분합니다 남여치~월명암, 재백이고개~마당바위, 관음봉삼거리~관음봉 구간은 다소 힘들게 올라야 하지만 나머지 구간은 대체적으로 양호한 능선길과 완만한 오르막이나 내리막 입니다 변산반도(邊山半島) 전라북도 부안군 남서부 황해안에 있는 반도 내륙에는 변산이 솟아있고, 남쪽에는 곰소만과 맞닿아 있으며 서부 해상에는 위도가 있다 동부에는 호남평야의 일부가 조성되어 있다 내소사와 개암사를 비롯하여 채석강과 적벽강, 직소폭포, 월명암 낙조대 등 풍부한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다음백과] 내변산(內邊山) 전라북도의 서남단 서해의 고군산군도와 위도 앞바다로 돌출하여 장장 99km에 이르는 해안선과 북쪽으로는 새만금과 남쪽 해안은 곰소만으로 둘러싸인 변산반도는 천혜의 명승지로 이 일대를 묶어 변산반도 국립공원이라 일컫는다 안쪽 산악지대를 내변산, 그 바깥쪽 바다주변을 외변산으로 구분한다 내변산의 중심은 변산반도의 최고봉인 의상봉(509m)을 비롯하여 남서쪽의 쌍선봉과 낙조대, 월명암, 봉래구곡, 직소폭포 일대라 할 수 있다 변산일대의 산들은 예부터 능가산, 영주산, 봉래산 등 별칭을 가지고 조선 8경 또는 호남 5대 명산 중의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변산의 첩첩한 산과 골짜기는 해발 400~500m 정도로 낮은 편이나 기기묘묘한 형상으로 심산유곡을 방불케하고 특히 낙조대에서의 월명낙조는 변산의 풍경 중 으뜸이다 [대한민국 구석구석] 직소폭포(直沼瀑布) 봉래 계곡에서 가장 상류에 직소폭포가 위치하고 있다 변산반도에서 규모가 가장 큰 폭포이다 직소폭포 아래 부분에서 포트홀(돌개구멍)이 관찰된다 직소폭포 주변에 주상절리를 관찰할 수 있다 부안지역 내변산의 대표적인 관광명소인 직소폭포는 높이 약 30m 정도로 폭포를 받히고 있는 둥근 못으로 곧바로 물줄기가 떨어진다고 하여 직소란 이름이 붙여지게 되었다 직소폭포 주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응회암에서 관찰할 수 있는 용결조직과 주상절리를 관찰할 수 있으며, 유수의 침식작용에 의한 폭포의 형성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변산응회암 내에 발달하는 주상절리는 화산쇄설성밀도류에 의해 화산쇄설물이 빠르게 퇴적된 뒤, 그 뜨거운 화산쇄설물이 시간이 흐름에 따라 빠르게 냉각되고 수축하는 과정에서 형성된다 [대한민국 구석구석] 00:00 인트로 00:18 분옥담 00:29 들머리(남여치 매표소) 01:30 쌍선봉 02:14 월명암 05:00 마당바위(조망) 06:13 자연보호헌장탑 06:43 직소보 08:07 선녀탕 09:27 직소폭포 전망대 11:13 직소폭포 13:26 재백이삼거리 15:15 마당바위 16:18 관음봉삼거리 17:32 관음봉 19:58 세봉 21:00 세봉삼거리 25:00 내소사 일주문(산행종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