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혜원 한국직업능력연구원장이 말하는 KRIVET | 🎥One Point Interview🎥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원장 인터뷰](https://poortechguy.com/image/XTGJODBIWm8.webp)
고혜원 한국직업능력연구원장이 말하는 KRIVET | 🎥One Point Interview🎥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원장 인터뷰
#고혜원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고혜원원장 #KRIVET 00:00 인트로 00:08 Q1 한국직업능력연구원장으로 취임 소감 안녕하세요 지난 3월 28일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제10대 원장으로 선임된 고혜원이라고 합니다 저는 1997년 우리 원이 개원할 때부터 같이 구성원으로서 저희 원 소속이었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감회가 깊었습니다 특히 저희 구성원들과 같이 기관에 대한 애정도 가지고 있었고 기관의 발전 방향에 대한 고민도 많이 했기 때문에 더욱더 기관에 대한 애정이 높다고 말씀드릴 수가 있겠습니다 우리 원의 장점을 말씀드릴 수 있다면 어떤 다른 원의 구성원의 그런 전공보다도 다양한 학제적 연구가 가능하다는 강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 원의 이름 한국직업능력연구원보다도 영어로 말씀드릴 때 KRIVET(크리벳)이라는 이름이 세계에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유네스코라든가 국제노동기구, 아시아개발은행, 세계은행과 같은 기구들과 직업교육훈련 관련 연구를 많이 하면서 케이벳 한국형 직업교육훈련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단순히 직업교육훈련의 향상뿐만 아니라 전 부처 인력 양성을 주로 많이 하면서 저희 원의 이름이 많이 알려져 있어서 저희 원의 원장이 되었다는 것은 저한테도 큰 영광입니다 01:42 Q2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나아가야 할 방향 무엇보다도 우리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정부출연연구기관이기 때문에 국가의 미래 인재라든가 인력 개발에 관련을 가지는 연구들을 많이 추진할 생각입니다 제가 취임하면서 우리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비전을 역동적 경제와 행복한 사회를 만드는 직업능력 전문 연구기관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이를 좀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첫 번째로 ‘역동적 경제’라함은 국민의 직업교육 훈련을 통한 사회적 이동성을 제고하겠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최근에 인구 감소 문제가 굉장히 심각해지고 있는데요 인구 감소 문제에 따라서 단순히 단위학교, 직업계 고등학교라든가 또는 전문대학이라든가 대학의 단위 학교의 문제만이 아니라 노동시장 전체의 미스매치까지 가져올 수 있는 큰 문제입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는 연구를 중점적으로 하려고 합니다 다음으로는 전 국민의 생애주기별로 직업교육훈련 정책 연구를 강화하겠습니다 우리 연구원의 강점은 초등학교부터 중학교, 고등학교, 그 다음에 이런 학생들과 더불어서 대학생 그리고 구직자, 재직자, 중장년층 그리고 퇴직 이후에 전 연령층까지 다 아우를 수 있는 직업능력 관련 정책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더욱 강화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세 번째로는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한국형 직업교육훈련을 더욱더 전파할 수 있도록 세계 여러 나라들과 국제기구들과 연구를 많이 하려고 합니다 종합적으로 말씀드리면 전 부처의 인력양성을 지원할 수 있는 전문 연구기관으로 더욱더 성장하도록 하겠습니다 03:38 Q3 한국직업능력연구원 구성원에게 보내는 메시지 저는 지난 27년 동안 우리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구성원으로 우리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성장도 목도하였는데요 모든 구성원과 임원들이 노력한 덕분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성장을 유지시켜 나갈 수 있도록 더욱더 좋은 연구를 할 수 있는 연구기관이 되어야 합니다 무엇보다도 우리가 공공기관이기 때문에 향후에 성과 있는 연구기관, 그리고 혁신적인 연구기관으로 탈바꿈할 수 있도록 우리 구성원들의 노력도 굉장히 필요합니다 이제는 AI 시대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걱정하고 있는 게 AI 시대에 과연 사람이 어떤 직무능력을 가질 수 있을까, 향후에 우리는 어떠한 수요에 반응할 수 있는가를 고민을 많이 하고 있는데요 이러한 걱정들을 기회로 우리가 AI 시대의 인재에 대한 연구를 더욱더 잘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우리 연구원의 구성원들도 이러한 시대적 수요나 요구에 다 부응한다는 자세로 임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 원이 앞으로 이런 관련 연구를 더 많이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이 들고요 특히 이러한 연구는 단순히 개별 정부 부처의 수요에 부응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 전체의 미래 인재 개발에 도움이 되도록 더욱더 노력할 것입니다 #역동적경제 #행복한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