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회생’했지만 집행률 14%…갈피 못 잡는 대전사랑카드 / KBS  2023.11.16.

‘기사회생’했지만 집행률 14%…갈피 못 잡는 대전사랑카드 / KBS 2023.11.16.

지난해 예산 삭감으로 폐지 위기에 놓였다가 온통대전에서 대전사랑카드로 되살아난 대전 지역화폐가 유명무실하게 운영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환급 혜택으로 사용한 예산이 전체의 14%에 불과하고 복지대상자 발급 비율도 5%에 그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성용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대전시는 올해 초 지역화폐 명칭을 온통대전에서 대전사랑카드로 바꿨습니다 지역화폐 국비 지원이 절반 수준으로 줄었고 이에 따라 저소득층에 혜택을 집중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일반인 환급 혜택을 3%로 줄이고 차상위계층 등 복지대상자는 최대 10%를 받을 수 있게 했습니다 그러나 발급을 시작한 지 반년이 지난 현재, 운영 실적은 낙제점 수준입니다 국비 포함 290억 원을 편성했지만, 지난달까지 환급 혜택으로 사용된 건 41억 9천만 원, 14 4%에 불과합니다 특히 이 가운데 복지대상자가 받은 혜택은 4억 7천만 원으로 전체 환급액의 11%에 그쳤습니다 전체 복지대상자 중 카드를 발급받은 사람도 5%뿐입니다 현금을 충전해 사용하는 방식과 홍보 부족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송대윤/대전시의회 산업건설위원 : "홍보도 덜 됐고 복지대상자들이 접근하기 어려운 방법으로 (운영)하다 보니까, 지금 현재는 유명무실한 카드로 전락하고 말았습니다 "] 이런 추세면 애써 확보한 국비 83억 원 가운데 60억 원가량을 반납해야 합니다 복지대상자를 비롯해 대전시민에게 돌아가야 할 혜택이 사라지는 건데 대전시는 뒤늦게 사용 촉진에 나섰습니다 [김보현/대전시 소상공정책과 온라인지원팀장 : "기본 캐시백 3%를 지급하는 계획이었지만 집행률을 높이기 위해서 11월부터 12월, 연말까지 기본 캐시백을 7%로 상향(했습니다 )"] 국회 상임위에서 지역화폐 예산이 7천억 원으로 증액돼 내년에도 대전사랑카드가 유지될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효과적인 운영 방안 마련이 필요합니다 KBS 뉴스 성용희입니다 촬영기자:오종훈 ▣ KBS 기사 원문보기 : ▣ 제보 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 전화 : 02-781-1234 ◇ 홈페이지 : ◇ 이메일 : kbs1234@kbs co kr #대전사랑카드 #대전시 #지역화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