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견 키우려면 허가 받아야…개 물림 사고 줄어들까? [MBN 뉴스7]

맹견 키우려면 허가 받아야…개 물림 사고 줄어들까? [MBN 뉴스7]

【 앵커멘트 】 이제는 맹견으로 분류된 개를 키우려면 지방자치단체의 허가를 받아야만 합니다 개의 공격성을 측정하는 특정 평가를 통과해야만 하는데, 이 방법으로 개 물림 사고를 막을 수 있을까요? 안정모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목줄이 풀린 큰 개 여러 마리가 남성에게 달려듭니다 (현장음) -"뭐야 어떡해? 아 어떡해?" 주인 품에 안겨 있던 푸들은 목숨을 잃었고, 주인도 다쳤습니다 지난 2020년에도 서울 불광동에서 맹견류인 로트와일러가 산책 중이던 소형견을 물어 죽였습니다 이처럼 개 물림 사고가 매년 2천 건 넘게 발생하자 정부는 도사견과 아메리칸 핏불테리어 등 맹견 5종에 대해서 사육 허가를 받도록 했습니다 중성화수술 등 필수 요건을 갖춘 개를 대상으로 기질평가를 거쳐 최종 허가 여부가 결정됩니다 ▶ 스탠딩 : 안정모 / 기자 - "기질평가를 받는 개는 우산을 펼쳐도 공격하지 않아야 합니다 우산 펼치기 등 12개의 자극 통과해야만 사육 허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기질평가를 3번 불합격하게 되면 견주의 동의 없이 개를 안락사시킬 수도 있습니다 ▶ 인터뷰 : 주경미 / 로트와일러 견주 - "안락사 당하게 될 수도 있는 건데, 반려견 키워보신 분들은 (반려견들이) 다 가족이잖아요 " 하지만, 특정 견종만 지정해 맹견으로 분류하는 등 개의 공격성에만 초점을 맞추는 방식은 한계가 있다는 지적입니다 ▶ 인터뷰 : 노일호 / 반려견훈련사 - "모든 견종은 맹견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어떤 사람을 만나느냐에 따라서 맹견이 되기도 하고 충실한 반려견이 될 수도 있다… " 개정된 동물보호법처럼 개의 공격성만을 따질 게 아니라, 견주가 위험한 개를 다룰 수 있는 힘과 능력이 있는지도 함께 평가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MBN뉴스 안정모입니다 [an jeongmo@mbn co kr] 영상취재 :김태형 기자, 정상우 VJ 영상편집 :이재형 ☞ MBN 유튜브 구독하기 ☞ 📢 MBN 유튜브 커뮤니티 MBN 페이스북 MBN 인스타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