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일락 수수꽃다리 개회나무 정향나무 등의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라일락 토종라일락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라일락 수수꽃다리 개회나무 정향나무 등의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라일락 토종라일락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라일락 수수꽃다리 개회나무 정향나무 등의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라일락 토종라일락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동속식물: 국생정에 Syringa(수수꽃다리속)으로 15종 등재되어 있음 reticulata 종류 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Maxim ) H Hara 토종라일락 자생라일락 수수꽃다리 개회나무 정향나무 라일락 등의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토종라일락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긴잎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for longifolia T B Lee 들정향나무 Syringa reticulata (Blume) H Hara var reticulata 수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for bracteata (Nakai) T B Lee 털긴잎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for koreana T B Lee patula 종류 섬개회나무 Syringa patula var venosa (Nakai) K Kim 정향나무 Syringa patula var kamibayshii (Nakai) K Kim 털개회나무 Syringa patula (Palib ) Nakai 흰섬개회나무 Syringa patula var venosa for lactea K Kim 흰정향나무 Syringa patula var kamibayshii for lactea (Nakai) K Kim wolfii 종 꽃개회나무 Syringa wolfii C K Schneid 털꽃개회나무 Syringa wolfii var hirsuta (C K Schneid ) Hatus 기타 버들개회나무 Syringa fauriei H Lev 수수꽃다리 Syringa oblata var dilatata (Nakai) Rehder 서양수수꽃다리 Syringa vulgaris L 1 흰섬개회나무 학명 : Syringa patula f lactea var venosa K Kim 2 털꽃개회나무 학명 : Syringa wolfii var hirsuta (C K Schneid ) Hatus 3 수수꽃다리 학명 : Syringa oblata var dilatata (Nakai) Rehder 영문명 : Dilatata Lilac 4 버들개회나무 학명 : Syringa fauriei H L?v 5 들정향나무 학명 : Syringa reticulata (Blume) H Hara 6 개회나무 학명 :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Maxim ) H Hara 영문명 : Manchuian Lilac 7 수개회나무 학명 : Syringa reticulata f bracteata (Nakai) T B Lee 8 긴잎개회나무 학명 : Syringa reticulata f longifolia var mandshurica T B Lee 9 털긴잎개회나무 학명 : Syringa reticulata f koreana var mandshurica T B Lee 10 털개회나무 학명 : Syringa patula (Palib ) Nakai 영문명 : Velvety Lilac 11 정향나무 학명 : Syringa patula var kamibayshii (Nakai) M Y Kim 12 흰정향나무 학명 : Syringa patula f lactea var kamibayshii (Nakai) M Y Kim 13 섬개회나무 학명 : Syringa patula var venosa (Nakai) K Kim 14 꽃개회나무 학명 : Syringa wolfii C K Schneid 정향나무 1 꽃의 열편(우리가 흔히 말하는 꽃잎) 끝이 뾰족한 모양이고 뒤로 젖혀진다 2 잎맥이 움푹 들어가고 잎밑이 원저(둥근 모양) 이다 3 잎 뒷면에 털이 없다 4 열매가 타원영이다 5 화경(꽃줄기)이 없고 줄기에 꽃이 직접달린다 6 5~6월에 개화한다 털개회나무 1 꽃의 열편(우리가 흔히 말하는 꽃잎) 끝이 둥근 모양이다 (수수꽃다리와 같음) 2 잎맥이 움푹 들어가지 않고 잎밑이 넓은 예저(뾰족한 모양) 이다 3 잎 뒷면에 털이 있다 4 열매가 바늘모양으로 뾰족하다 5 화경(꽃줄기)이 없고 줄기에 꽃이 직접달린다 6 5~6월에 개화한다 수수꽃다리 1 꽃의 열편(우리가 흔히 말하는 꽃잎) 끝이 둥근 모양이다 2 잎맥이 움푹 들어가지 않고 잎밑이 심장형이다 3 잎에 털이 없다 4 열매가 타원형이다 5 화경(꽃줄기)이 형성되어 마주나기로 꽃이 달린다 6 4월에 개화한다 ==================== 라일락 수수꽃다리 개회나무 정향나무 등의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라일락 토종라일락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동속식물: 국생정에 Syringa(수수꽃다리속)으로 15종 등재되어 있음 reticulata 종류 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Maxim ) H Hara 토종라일락 자생라일락 수수꽃다리 개회나무 정향나무 라일락 등의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토종라일락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긴잎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for longifolia T B Lee 들정향나무 Syringa reticulata (Blume) H Hara var reticulata 수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for bracteata (Nakai) T B Lee 털긴잎개회나무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for koreana T B Lee patula 종류 섬개회나무 Syringa patula var venosa (Nakai) K Kim 정향나무 Syringa patula var kamibayshii (Nakai) K Kim 털개회나무 Syringa patula (Palib ) Nakai 흰섬개회나무 Syringa patula var venosa for lactea K Kim 흰정향나무 Syringa patula var kamibayshii for lactea (Nakai) K Kim wolfii 종 꽃개회나무 Syringa wolfii C K Schneid 털꽃개회나무 Syringa wolfii var hirsuta (C K Schneid ) Hatus 기타 버들개회나무 Syringa fauriei H Lev 수수꽃다리 Syringa oblata var dilatata (Nakai) Rehder 서양수수꽃다리 Syringa vulgaris L 1 흰섬개회나무 학명 : Syringa patula f lactea var venosa K Kim 2 털꽃개회나무 학명 : Syringa wolfii var hirsuta (C K Schneid ) Hatus 3 수수꽃다리 학명 : Syringa oblata var dilatata (Nakai) Rehder 영문명 : Dilatata Lilac 4 버들개회나무 학명 : Syringa fauriei H L?v 5 들정향나무 학명 : Syringa reticulata (Blume) H Hara 6 개회나무 학명 :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Maxim ) H Hara 영문명 : Manchuian Lilac 7 수개회나무 학명 : Syringa reticulata f bracteata (Nakai) T B Lee 8 긴잎개회나무 학명 : Syringa reticulata f longifolia var mandshurica T B Lee 9 털긴잎개회나무 학명 : Syringa reticulata f koreana var mandshurica T B Lee 10 털개회나무 학명 : Syringa patula (Palib ) Nakai 영문명 : Velvety Lilac 11 정향나무 학명 : Syringa patula var kamibayshii (Nakai) M Y Kim 12 흰정향나무 학명 : Syringa patula f lactea var kamibayshii (Nakai) M Y Kim 13 섬개회나무 학명 : Syringa patula var venosa (Nakai) K Kim 14 꽃개회나무 학명 : Syringa wolfii C K Schneid 정향나무 1 꽃의 열편(우리가 흔히 말하는 꽃잎) 끝이 뾰족한 모양이고 뒤로 젖혀진다 2 잎맥이 움푹 들어가고 잎밑이 원저(둥근 모양) 이다 3 잎 뒷면에 털이 없다 4 열매가 타원영이다 5 화경(꽃줄기)이 없고 줄기에 꽃이 직접달린다 6 5~6월에 개화한다 털개회나무 1 꽃의 열편(우리가 흔히 말하는 꽃잎) 끝이 둥근 모양이다 (수수꽃다리와 같음) 2 잎맥이 움푹 들어가지 않고 잎밑이 넓은 예저(뾰족한 모양) 이다 3 잎 뒷면에 털이 있다 4 열매가 바늘모양으로 뾰족하다 5 화경(꽃줄기)이 없고 줄기에 꽃이 직접달린다 6 5~6월에 개화한다 수수꽃다리 1 꽃의 열편(우리가 흔히 말하는 꽃잎) 끝이 둥근 모양이다 2 잎맥이 움푹 들어가지 않고 잎밑이 심장형이다 3 잎에 털이 없다 4 열매가 타원형이다 5 화경(꽃줄기)이 형성되어 마주나기로 꽃이 달린다 6 4월에 개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