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시장tv 뉴스온] 지역 살리는 ‘글로컬 상권 프로젝트’ 신설](https://poortechguy.com/image/YDFZrboV7D4.webp)
[소상공인시장tv 뉴스온] 지역 살리는 ‘글로컬 상권 프로젝트’ 신설
[앵커멘트] 침체된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는 로컬 크리에이터가 창의적 소상공인들의 노력을 돕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추진합니다 [VCR - 나레이션] 최근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으면서 상권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기존 상인과 협력해 소위 ‘리단길’을 만들어가는 로컬 크리에이터들이 자생적으로 생겨나고 있습니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이 주재한 제2차 우문현답 간담회에서도 지역상권 살리기에 노력하고 있는 로컬 크리에이터들이 참석해 정부 차원의 관심을 요청했습니다 인터뷰) 이태호 / (주)윙윙 대표 (’24 03 04 제2차 우문현답 정책협의회) 로컬 크리에이터 사업이 정비가 되면서 혹은 성장 제도가 너무 잘 만들어지면서 제도적인 준비는 됐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나OO, 스OOO 이런 브랜드가 나오기까지 BM이나 브랜드파워가 생기기까지 직원으로 일할 사람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나와 다른 전문성을 가진 사람이 내 옆에서 같이 도와줄 때 신뢰를 할 수 있느냐… 이에 중기부는 이들의 노력을 더욱 가속화하고 젠트리피케이션 방지를 위한 자율적인 상권관리까지 이어지도록 지원해, 대표 성공모델인 ‘글로컬 상권’을 만들겠다는 전략입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글로컬상권 창출팀과 로컬브랜드 창출팀으로 나눠서 공모하며, 글로컬상권 창출팀에게는 첫해 최대 55억원, 5년간 최대 155억원을 투입합니다 글로컬 상권이 되려면 매력적인 공간기획 외에도 창의적 소상공인 육성이 동반되어야 하는 만큼, 기존 로컬브랜드 창출 사업 외 상권활성화사업, 매칭융자, 동네펀딩 등 10개 관련사업을 5년 내내 최대한 동시 지원할 계획입니다 지자체와도 원활한 협업이 이루어지도록 로컬 크리에이터와 소상공인이 한 팀이 되어 지자체와 컨소시엄을 이뤄 지원해야 하며, 지원 가능 지역은 점포수 30개 이상의 상업지역, 자율상권구역 또는 지역상생구역이 대상입니다 한편 로컬브랜드 창출팀의 경우 작년과 유사하게 2년간 최대 10억원을 지원합니다 1년차에는 중기부가 공동 브랜딩, 상품개발 등 로컬비즈니스 확장과 지역 예비소상공인의 창업·혁신 프로그램 운영에 사용할 수 있는 자금 5억원을 지원하고, 2년차에는 지자체가 상권연계 축제기획, 공동브랜딩 확장 등 골목산업을 확산할 수 있는 자금 5억원을 지원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 오영주 장관은 “이번 프로젝트는 개별적으로 지원되던 여러 소상공인 사업을 하나의 프로젝트로 묶고,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와 지자체는 지원하도록 설계된 최초의 상권사업이다”라고 강조하고, “동네의 로컬상권들을 국내외 수많은 사람들이 찾고 머무는 글로컬 상권으로 발전시키도록 지원해 세계인이 찾는 명품 글로컬 도시를 만들면서 지역소멸도 방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